
만약 우리가 프로젝트를 수동으로 배포한다고 하면,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은 과정대로 진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수동 배포는 사람이 모든 과정에 직접 개입하기 때문에, 배포해야 할 서버가 많아질수록 또는 배포 자체를 해야할 경우가 많아질수록, 점점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실수할 가능성 또한 늘어나게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이러한 배포과정을 수동으로 하지 않고, 자동화한다.
배포를 자동화 하기 위한 방법과 도구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 강의에서는 Jenkins 를 통해 배포를 자동화하는 학습을 진행한다.
만약 위 과정에서 Jenkins 를 활용해서 배포를 자동화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배포 단계에서 Jenkins 가 개입하게 되고, 아래와 같은 구조가 만들어지게 된다.

jenkins-instance 로 해주었다.putty 를 이용해 서버 접속sudo dnf update -ysudo dnf install dnf-plugins-core -ysudo dnf 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sudo dnf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ysudo systemctl start dockersudo systemctl enable dockersudo docker run -d -p 8080:8080 -p 50000:50000 --name jenkins --restart=always -v jenkins_home:/var/jenkins_home jenkins/jenkins:ltslts 대신 버전을 입력해주면 된다. ( ex. 2.440.3 )sudo docker exec jenkins 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jenkins-instance-서버IP:8080 로 접속해보자.Install suggested plugins 와 Select plugins to install 두 개의 버튼이 있는데, 우리는 Install suggested plugins 를 클릭한다.
Install suggested plugins 를 사용해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야 할 패키지들만 설치해주고, 필요한건 따로 설치하자. ( Jenkins 는 플러그인을 추가로 설치하는게 굉장히 간단해서 이렇게 설치를 해도 괜찮다. )Install suggested plugins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플러그인들이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ve and Continue 버튼을 클릭하자.http:jenkins-instance IP주소:8080 )을 그대로 두고, Save and Finish 버튼을 클릭하자.
Start using Jenkins 버튼을 클릭해보자.
지금까지 Jenkins 서버를 세팅했다.
다음 내용에서는 Jenkins 를 활용해서 배포할 수 있는 환경설정을 해보자.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 코드와 그림 등의 출처는 이준형 강사님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