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프로젝트에서 JWT 토큰을 사용했는데 돌이켜보니 토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아 가볍게 정리하였습니다.
매번 직접 React 환경을 구현해봐야지 생각만하다가 webpack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기 위해 작성해보았습니다.
Next.js의 서버 컴포넌트에서 mongoose 연결할때 발생한 에러 해결방법입니다.
이력서를 넣으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 찾아보던중 완전 초기에 팀원들과 페어프로그래밍만으로 만들었던 프로젝트를 열어본 결과 충격에 빠지게 되었고 리팩토링하기를 결정하게 되었다.
Synthetic Event 키워드를 발견했을때 낯익음과 낯설음이 공존했다. React에서 버튼을 클릭하는 이벤트를 만들었을때 넘어오는 객체를 콘솔로 찍어보면 나왔던 객체였다. 궁금해서 공부하고 정리한다.
면접스터디 도중 가비지 컬렉션(GC)에 관한 말이 나왔는데 딥하게 답해주는 동료를 보고 GC에 관심이 생겨서 좀더 찾아보게 되었다. 많이 어려웠는데 카카오블로그를 통해서 알게된 내용을 간단히만 포스팅해본다.
React를 매번 사용하면서 렌더링이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알지 못했는데 여러 포스팅을 읽다가 Fiber라는 키워드를 발견하고 공부하게 되어서 포스팅을 작성했다.
A non-serializable value was detected in the state 리덕스 툴킷 에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