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의 read, wirte IOPS 및 bandwidth를 테스트를 할 수 있는 FIO 명령어를 사용하여 HDD, SSD과 같은 저장장치의 성능 측정을 진행한다.이는 기존의 경우 쉘스크립트로 진행이 되었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 때문에 ansible로 구성하려 한
스크린샷 2023-01-27 오전 10.42.12.png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환경 구성 자동화 도구 (IaC를 지향)하며 여러 설치 과정을 자동화하여 불필요한 시간 낭비 절약절차를 수행하는 모든 서버에 환경을 동일하게 유지 및 적용하는 멱등성이 특징수
Ansible의 log를 저장하여 실행 기록을 확인하고 싶을 때가 존재 하므로 log를 저장하는 방법을 기록한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ansible.cfg 파일 생성ansible.cfg속 log_path 검색 및 수정ansible-playbook 작성 및 실행log를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의 연동 호환성을 위해 포맷에 대한 규칙이 필요하다. 이러한 규칙에는 CSV, JSON, YAML 등이 있다.그렇기 때문에 YAML 이란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간에 사용 되는 포맷에 대한 규칙인 것이다.사용자 친화적주석 사용
Ansible이란, 미리 지정해둔 config 파일을 토대로 프로비저닝하는 Configuration Management Tool 입니다.다음과 같은 순서로 세분화 됩니다.OS : Ubuntu 20.04 LTSansible 설치(Ansible Server)<키 생성
이번 포스팅을 통하여 Ansible과 Rundeck에 대하여 알아보고 두 자동배포 툴의 기능, 특징, 사용법 등을 정리하며 둘의 차이점까지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ansible은 오픈소스 IT 자동화 툴로서,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환경 구성 자동화 도구
세상에 수만가지의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우리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해 여러 수만대의 서버와 이러한 서버를 사용하는 수많은 사용자들이 있다. 이러한 수요에 따른 공급에 대하여 원활한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먼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작하기
Topics VPC -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만들 때 사용되는 리소스이다. 논리적인 독립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IP의 범위를 지정하는 IPv4 CIDR 블록을 필수적으로 가지게 된다. 그렇게 생성된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CIDR 범위 안의 적절한 IP를 가지게
스위치란?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 속의 목적지 주소를 가지고 지정한 포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비 🔳 L2 스위치 Layer 2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스위치로 이더넷 프레임의 MAC 주소를 가지고 해당하는 포트로 이더넷 프레임을 송출하는
데몬Linux에서는 모든 프로세스를 데몬이라고 말한다. 데몬이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라고 볼 수 있다. 데몬 프록세스는 PPID를 1로 가지며, 해당 PPID의 PID를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또한 데몬 프로세스로 분류된다.포트와
프로세스 -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작업(task)라는 용어와 의미가 같음명령어와 정적인 데이터인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가게 되면 프로세스가 되는 것PID : 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를 식별 구분하기 위해 부여된 식별번호(Process IDentific
쉘이란?사용자의 명령어와 프로그램 커널간의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의 명령어를 받아 해석하고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sh - UNIX 쉘의 초기 버전이다.bash - 리눅스의 표준 쉘로서 Ubuntu 및 페도라에서도 사용된다. sh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공개 소프
/binbinarise의 약어로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binary)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부팅에 필요한 명령어, 부팅 후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 명령어 위치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 명령어들의 디렉토리현재 디렉토리의 이름을 가진 사용자에게만 한정된 바이너리
지식습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커리큘럼 Knowre-Dev를 활용하여 진행합니다! Topic에 대하여 잘 학습하고 Checklist를 활용하여 자문자답을 진행하고 결과물을 만들고 추가적인 공부를 진행하는 형식으로 진행합니다. 이번 퀘스트를 통해 리눅스의 기본적인 구조와
Azure Docs(https://azure.microsoft.com/ko-kr/resources/cloud-computing-dictionary/what-is-devops/DevOps는 개발(Dev)과 운영(Ops)의 합성어로 프로세스 및 기술의 합집합이다.
AWS Docs를 기반으로 DevOps가 무엇인지 정리를 해본다.DevOps란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 철학, 방식 및 도구의 조합이다. 기존의 조직보다 제품을 더 빠르게 혁신 및 개선이 가능하다. 효과적인 경
지식습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커리큘럼 Knowre-Dev를 활용하여 진행합니다! Topic에 대하여 잘 학습하고 Checklist를 활용하여 자문자답을 진행하고 결과물을 만들고 추가적인 공부를 진행하는 형식으로 진행합니다.커리큘럼에 따라 이번 퀘스트에서는 데브옵스가 무
오늘은 FastAPI 공식문서에 있는 실습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아주 초심자(본인)의 입장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잘못된 지식이 있다면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초심자분들이 따라하기 좋게 Step by Step으로 나누었습니다.저는 NHN-Cloud를 사용하여 환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생성, 하드웨어 조작 등 커널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시스템콜을 통해 커널에 처리를 요청한다.<종류><CPU의 모드 변경>커널에 처리를 요청하고자 시스템 콜을 호출하면 CPU에서 인터럽트 이벤트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