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HyperText Tranfer Protocol)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 OSI 7 Layer의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되며 기본 포트는 80번 ** TCP/IP
DNS 우리는 웹브라우저에서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을 할 때 www.wingeat.com, www.google.com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하여 사이트에 접근함 그러나, 웹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IP 주소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ip주소를 도메인으로
동기 백엔드 분들과 사전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정말 생소한 이름의 자료구조를 알게 되었는데, 바로 HASH TABLE이라는 놈이었다.데이터의 키값을 해시함수를 통해 인덱스화하고 배열의 해당 인덱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해시 테이블의 검색 성능은 해시 함수의 성능과 해
Git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 같은 것이 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Git-flow, 한 번 알아보자Git-flow는 Git이 활성화 되기 시작하던 때 쯤 Vincent Driessen이라는 사람이 블로그에 올린 내용이 퍼져 현재는 거의 표준과 같이 사용되고 있
정렬 알고리즘의 꽃이라 불리는 알고리즘기준점(Pivot)을 정해서, 기준점보다 작은 데이터는 왼쪽, 큰 데이터는 오른쪽으로 모아주는 정렬 기법이다.하나의 리스트를 피벗 기준 비균등하게 분할하고, 분할된 리스트를 정렬하고 다시 합치는 형태퀵 정렬은 기준점을 정한다고 앞서
올해 2월, 나는 평생 직장을 그만두고 3개월 동안 위코드 부트캠프에서 개발자로의 인생을 새로 시작하게 되었다. 개발을 시작하기 전.. 위코드에서 개발을 배우기 전, 나는 국토부의 산하 기관 성격의 협회에서 정년을 보장이라는 누구나 선망하는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근
애자일 작업 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우고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사이클을 반복하여 고객의 요구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개발 방법론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조직과 사업 등 기업경영 전반으로 사용 범위가 확산 vs 워터폴 방식 애자일
Scrum KanbanLean Extreme Programming (XP)Feature Driven Development (FDD)Dynamic Software Development Method (DSDM)스크럼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의 하나로 다음과 같은
위코드에서의 마지막 한 달, 기업협업! 1. 프로젝트 및 팀 소개 (기업) 동대문 사입 전문 회사 쉐어그라운드에서의 한 달간 기업협업을 진행 (구성) 프론트엔드 개발자 2명, 백엔드 개발자 2명, 총 4명으로 구성 2. 사용된 기술 (언어, 프레임워크, 데이터
1차 프로젝트 후 황금같은 한 주 휴식을 취하고 시작했던 지닥 프로젝트! 1. 프로젝트 및 팀 소개 (사이트) 블록체인 사이트 지닥 클론 프로젝트 (구성) 프론트엔드 개발자 2명, 백엔드 개발자 2명, 총 4명으로 구성 2. 사용된 기술 (언어, 프레임워크,
쿠키 : 사이트를 방문하고 이용할 때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정보들, 내가 임의로 고칠 수 있고 남이 쉽게 볼 수 있음. 불안함 세션 : 사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서버는 사용자 구분을 위한 임시 키하나를 브라우저로 보내서 쿠키에 저장, 브라우저는 HTTP요청을 통해 키
최소값을 찾아 앞쪽으로 이동하기를 배열 크기만큼 반복하는 정렬장점데이터 양이 적을 때 아주 좋은 성능을 나타냄작은 값을 선택하기 위해 비교는 여러번 하지만 교환횟수가 적음단점100개 이상의 자료에 대해서는 속도가 급격히 떨어짐두 인접한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방법장점
배열과 리스트의 차이점이 있다는 사실은 알았지만,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다. 이를 쉽게 설명한 유투브가 있어 참조하게 되었다.아래 그림에서 array0과 list0의 값은 둘 다 동일하게 주소값을 찾아감하지만, array3과 list3의 값을 찾아가는 과정은 어떨까?ar
지난 기업 협업 기술 세미나에서 발표를 진행했지만, 제대로 정리를 하지 못해 이번에 정리해보고자 한다.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현실 세계를 프로그램 설계에 반영한다는 개념을 기반으로 함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행위(Method)와 상태(At
곤대 스터디 1주차 금요일 나의 발표 주제 CORS.. 기업 협업의 막바지의 주요 이슈였던 CORS.. 너 왜 안됐던 거니? CORS 정책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의 줄임말로, 직역해 보자면 Cross-Origin의 Resource를
위코드에서의 생활 동안 Django라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왔고, 그 틀 안에서 작업을 해야한다고 하지만 그 개념이 명확치 않았다. 프레임워크(Framework) 보다시피 Frame(뼈대, 틀) + Work(일하다) 의 합성어로, (틀 안에서, 틀에 갖춰진 대로 일을 수행하라.) 라는 말로 들리는데, 즉, 갖추어진 틀, 규칙 하에 코딩해! 라는 말로 ...
나를 힘들게 했던 세번째 시간 node.js...Node.js는 구글 크롬의 자바스크립트 엔진(V8)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버사이드 플랫폼라이언 달에 의해 개발 되었으며,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외의 다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준 런타임런타임 : 프로그래밍 언어
이번에는 기업 협업에 있어 나를 처음부터 당황스럽게 했던 두 번째 요소인 NoSQL & DynamoDB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NoSQL NoSQL DB는 특정 데이터 모델에 대해 특정 목적에 맞춰 구축되는 DB로 유연한 스키마를 개지고 있음 NoSQL을 사용해
기업 협업 후 정신 없이 밀려드는 새로운 기술들, 기술 세미나 준비 등으로 어느 덧 마지막 주를 앞두고 있다. 그 동안 정리하지 못한 기술들을 정리하고자 한다!그 첫번째 주자는 첫 날부터 지금까지 나를 너무나도 힘들게 하는 Promise..프로미스는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IoC (Inversion of Control)제어 반전, 제어의 반전, 역제어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프로그램이 재사용 라이브러리의 흐름 제어를 받게 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을 말한다. 줄여서 IoC(Inversion of Control)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인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