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C 프로그램 구조와 데이터 출력 방법
1) 프로그램과 main 함수 구조
- main 함수 구조 : 머리, 몸통 구조
- 머리 : 함수 원형 (함수의 이름과 필요한 데이터 표시)
- 몸통의 마지막에는 return 0;을 넣어 프로그램을 종료
- 함수에서 실행할 일은 몸통의 중괄호 안에 작성
- 주석문
- / ~ / : /와 / 사이의 모든 내용을 주석 처리
- // : //부터 해당 줄의 끝까지 주석 처리
- 함수 몸통 부분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
- 세미콜론(;)을 이용해 문장의 끝을 표시
- 한 줄에 한 문장씩 작성
- 일정한 간격으로 들여쓰기
2) 문자열 출력 : 출력 함수(printf)의 사용법
#include <stdio.h> //1행. stdio.h를 불러온다
- stdio.h : standard input output
- C언어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입출력 함수가 포함됨
3) 제어 문자 출력(출력 방식에 영향을 주는 것 : 백슬래시)
- \n(개행, new line) : 다음 줄로 이동
- \b(백스페이스, backspace) : 한 칸 왼쪽으로 이동
- \r(캐리지 리턴, carriage return) : 맨 앞으로 이동
- \a(알럿 경보, alert) : 벨소리
4) 정수와 실수 출력
- 정수는 %d, 실수를 %lf
- %lf는 기본 소수점 이하 여섯째 자리까지 출력함
printf("변환 문자", 숫자);
printf("%d\n", 10);
printf("%lf\n", 3.14);
/
2-2. 상수와 데이터 표현 방법
1) 정수 상수 표현법
- 10진법 : 0~9
- 8진법(앞에 0을 붙임) : 0~7
- 16진수(앞에 0x를 붙임) : 0~9, A~F
2) 실수 상수 표현법
- 실수는 소수점 형태와 지수 형태로 표현 가능
- 소수점 형태로 표현할 때 실수는 0~9, +, - 기호와 소수점 사용
- 정규화 표현법
3) 문자와 문자열 상수 표현법
- 문자(%c)는 작은따옴표('')
- 문자열(%s)은 큰따옴표("")
4) 상수가 컴파일된 후의 비트 형태
- 정수 : 4바이트
- 실수 : 8바이트
- 문자 : 4바이트
- 아스키코드
5) 정수 상수가 컴파일된 후의 비트 형태
- 양수의 변환 -> LL
- 음수의 변환 : 2의 보수
6) 실수 상수가 컴파일 된 후의 비트 형태
- 부호 비트 : 양수는 0, 음수는 1
- 지수부 : 부호 비트 다음부터 11비트는 지수값 의미
- 소수부 : 나머지 52비트는 소수값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