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거북이는 느리지만 결국 결승선을 통과한다
post-thumbnail

[기술면접] 스케줄링

기술면접 대비 스케줄링 정리

2023년 11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기술면접] 프로세스

기술면접 대비 프로세스 정리

2023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기술면접] 운영체제

기술면접 대비 운영체제 정리

2023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JS] 배열 안 문자를 숫자로 바꾸기

배열에서 문자를 숫자로 바꾸는 방법

2023년 9월 18일
·
0개의 댓글
·

첫 스프린트 회고

7~8월 첫 스프린트 회고글!

2023년 9월 6일
·
0개의 댓글
·

[JavaScript] Template literals

Template literals > 문자열을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 ES6문법 이전에는 var 문자 = '이름';과 같이 문자열을 만들었는데 backtick / backquote을 사용하여 문자를 만들 수 있다 backquote 문자열 장점 엔터키가 가능하다

2023년 8월 3일
·
0개의 댓글
·

[JavaScript] Hoisting과 전역변수

변수의 특징 중 Hoisting, 전역변수, 참조에 대해 알아보자위 예시처럼 변수의 선언을 변수 범위 맨위로 끌고 오는 현상을 Hoisting 현상이라고 한다변수를 만나면 선언부분을 강제로 맨 위로 끌어올리는 것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딱히 없다 JS 언어 자체가

2023년 8월 3일
·
1개의 댓글
·

[JavaScript] var, let, const 차이

변수는 자료 임시 저장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var 변수이름 = 저장할 값 ES6 문법 전에는 var 키워드만 있었지만, 현재는 let, const 키워드도 추가됨1 .선언let 이름 = 'kim' 에서 let 이름 부분2\. 할당let 이름 = 'kim'에서 이름

2023년 7월 24일
·
1개의 댓글
·

[JavaScript] Arrow Function (화살표함수)

function 함수(){}orlet 함수 = function(){}let 함수 = ( ) => {}코드를 기능별로 묶고 싶을 때입출력 기계를 만들고 싶을 때 💡입출력 기계 let 함수 = (a) => { return a +10 } 처럼 뭔가를 입력하면 출력해주는 것

2023년 7월 21일
·
1개의 댓글
·

[JavaScript] this 키워드에 대해

this 키워드는 3~4가지의 뜻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그냥 console 창에 this를 띄워보면 window가 뜬다, 이것이 첫 번째 this의 의미그냥 쓰거나 일반 함수 안에서 쓰면 { window } window라는 object는 JS의 기본함수들을 가

2023년 7월 21일
·
1개의 댓글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왜쓸까?

HTML을 변경하기 위해HTML 눌렀을 때 실행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 👉 이벤트 리스너잠깐 자료를 저장해두고 싶을 때 👉 변수자료를 한번에 여러개 저장하고 싶으면 array , object 사용긴 코드를 짧게 축약하고 싶을 때 👉 함수함수를 다양하게 쓰기 위해서

2023년 7월 21일
·
0개의 댓글
·

배열의 중복값 개수 구하는 방법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다가 배열의 중복값 개수를 구해야 하는 상황이 있어 찾아보았는데 알고있으면 꽤 유용할 것 같아서 한번 적어보려 한다forEach함수에서 배열의 각 원소들을 순서대로 callback 함수에 전달한다위 코드는 다음과 같은 코드이므로 참고하자만약 배열이

2023년 5월 26일
·
0개의 댓글
·

[Javascript 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Lv.0] 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my_str/n 의 길이만큼 반복문을 돌린다my_str.substr(n\*i, n)을 하면 i가 처음에 0 이므로 첫번째 인덱스부터 n개의 길이만큼의 문자들을 반환한다반복문을 돌면서 반환한 문자의 다음 인덱스부터 또 n개의 길이만큼 문자를 반환한다

2023년 5월 26일
·
0개의 댓글
·

[Javascript 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Lv.0] 문자열 밀기

문자열 밀기B 문자열을 더해 연속된 두개의 문자열을 만든 것을 BB라고 한다A와 B가 같다면 문자열을 밀 필요가 없으므로 0을 반환한다BB안에 문자열 A가 포함돼있다면 BB에서 문자열 A가 포함된 첫번째 인덱스 번호를 반환한다A가 포함되어있지 않다면 indexOf 함수

2023년 5월 2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