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에 나온, VRN 보다 Resolution이 향상되었으며 Texture, Face Animation을 제공한다.VRN을 사용하였을 때의 아웃풋이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아, DECA의 논문 및 소스코드를 사용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일단 논문 해석을 시도해본다
에디터에서는 상관 없으나, Launch 혹은 Packaging 할 때 일어난 문제이다.협업 툴을 GITHUB에서 Perforce로 바꾸면서, 마켓 플레이스 플러그인인 Weather System을 프로젝트 모듈로 바꾸었는데(원래는 각각 다운 받아야하지만 공개 프로젝트는
협업을 하다가 여차저차해서.. 파일이 꼬인 경우 프로젝트를 리빌드해야하는데프로젝트가 리빌드에 실패 했을때, 수동으로 빌드하라는 문구가 나온다.이때 프로젝트 파일을 우클릭해서 generate visual studio file을 하면솔루션 파일이 재생성된다. 그리고 이를
유니티에서 C학교 과목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으로 C++기초에 관해 배웠는데, 어쨌든 나중에 게임 엔진과 관련된 프로그래밍도 가능하려면 조금 더 기계친화(?)적인 언어도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Effective C++을 보기로 했고, 내용을 이 문서에다가
네트워크란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컴퓨터는 다양한 매체가 될 수도 있다. 핸드폰이나, 데스크탑, IoT등 말이다. 기들을 유,무선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네트워크라고 통칭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만약 기기마다 전파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방법이 다
c++에서, 파일의 입출력은 cin과 cout과 비슷한데,다른 점은, 스크린에서 일어나는 cin과 cout과 달리 수정/읽기 등이 파일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그래서 File I/O을 쉽게 세 가지로 나열하면1\. Create an ofstream, output file
데이터센터 프로그래밍 과목을 들으면서, 도커에 대해 다루어야할 일이 생겼다. 일단 시작하기 전에 내 목표를 말하면, 도커를 이용해 게임 PX 디자인 수업에서 만들고 있는 게임의 서버와 채팅서버를 운영해보려고한다. Windown 10 home 환경에서 설명하면, 도커를
디자인적사고 "과제학살자"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자강세천팀입니다. 저희 팀은 경희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18학번 강수한, 강태호, 문석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팀원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강수한 : pdf제작, 발표 강태호 : ppt제작, 전체 통솔 문
인프라란, 내가 만든 서비스가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반 시설과도 같다.예를 들어 단순히 우리가 빵 가게를 차린다고 생각하면, 빵을 팔 가게도 있어야할 것이고, 빵집에 전기도 들어와야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IT인프라란, 서비스가 돌아가기 위해서 서버나 네트워크 장
영상 처리보통의 영상처리(Image Processing)는, 저수준의 영상 처리를 의미한다.영상을 다른 형태의 영상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대략 지금은 sensor같은 역할이라고 이해하고 있다컴퓨터 비전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은, 처리된 영상을 통해
책을 읽다보면 '나'로 살라는 말을 자주 보게 된다.그렇다면 '나'는 무엇인가? 내 존재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당연히 따라오게 된다.이에 대한 내 의견은 다음과 같은 물음을 통해 시작했다. A라는 것을 좋아하는데, A는 나를 피폐하고 병들게 한다는 것을 안다면,어
매개변수 선언과 함수 반환 타입에 사용할 수 있지만,(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추론)그 외에 넣어서 될만한 것 다 되는 듯다만 매개 변수와 구조체/클래스의 멤버 변수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그럼 언제 쓰는 게 좋은가?아무 변수에나 막 붙이지말고, iterator이나 for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