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될 list 선언 람다 만드는법 1. 노네임 함수선언 2. 중괄호 안에 화살표로 선언 람다 호출 방법 람다 파라미터 호출 람다 사용 함수 선언 호출
클래스의 밖에서 클래스에 안에 있는것 처럼 사용하는 함수위 처럼 lastChar 라는 함수를 String.lastChar()로 선언하여 String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원본 class의 private, protected 멤버 접근이 안된다(캡슐화 보존)멤버함수,
컬렉션을 선언할 때, 불변인지 가변인지 먼저 설정해야함.컬렉션안에 불변인 Reference Type의 Element는 바꿀 수 있음TIP : 깔끔한 코드와 불필요한 가변 리스트 사용을 줄이기 위해 우선 불변 리스트를 만들고, 꼭 필요한 경우가변 리스트로 바꾸자
Sealed Class, Sealed Interface컴파일 타임 때 하위 클래스의 타입을 모두 기억한다.즉, 런타임때 클래스 타입이 추가될 수 없다.하위 클래스는 같은 패키지에 있어야 한다.Enum과 다른점1\. 클래스를 상속받을 수 있다.2\. 하위 클래스는 멀티
기본적으로 바깥 클래스에 대한 연결이 없는 중첩 클래스가 만들어진다this@상위클래스.변수 를 써서 바깥 클래스의 프로퍼티를 사용한다.
public : 모든 곳에서 접근 가능Protected : 같은 패키지 또는 하위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default(기본접근지시어) : 같은 패키지에서만 접근가능private : 선언된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가능public(기본접근지시어) : 모든 곳에서 접근 가능Pr
final : override를 할 수 없게 한다. default open : override를 열어 준다. abstract : 반드시 override 해야한다. override : 상위 타입을 오버라이드 하고 있다.
keymap을 사용하여 Character 별 최소값을 HashMap에 입력하며,targets을 탐색하여 최소값을 찾는다. (키 값이 없을때는 -1 break)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
시작점 : 파일이 있는 위치의 최소좌표끝점 : 파일이 있는 위치의 최대좌표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1990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86531 ≤ storey ≤ 100,000,000
남아는 n 번째 유사 칸토어 비트열에서 특정 구간 내의 1의 개수가 몇 개인지 궁금해졌습니다.n과 1의 개수가 몇 개인지 알고 싶은 구간을 나타내는 l, r이 주어졌을 때 그 구간 내의 1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5^0 : 15
호텔을 운영 중인 코니는 최소한의 객실만을 사용하여 예약 손님들을 받으려고 합니다. 한 번 사용한 객실은 퇴실 시간을 기준으로 10분간 청소를 하고 다음 손님들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약 시각이 문자열 형태로 담긴 2차원 배열 book_tim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어느 공원 놀이터에는 시소가 하나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시소는 중심으로부터 2(m), 3(m), 4(m) 거리의 지점에 좌석이 하나씩 있습니다.이 시소를 두 명이 마주 보고 탄다고 할 때, 시소가 평형인 상태에서 각각에 의해 시소에 걸리는 토크의 크기가 서로 상쇄되어
자연수 x를 y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x에 n을 더합니다x에 2를 곱합니다.x에 3을 곱합니다.자연수 x, y,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x를 y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연산 횟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
지도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ma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섬에서 최대 며칠씩 머무를 수 있는지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만약 지낼 수 있는 무인도가 없다면 -1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해주세요.3 ≤
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numbers가 있습니다. 배열 의 각 원소들에 대해 자신보다 뒤에 있는 숫자 중에서 자신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이 있는 수를 뒷 큰수라고 합니다.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원소에 대한 뒷 큰수들을 차례로 담은 배열을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