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하자> JavaScript (4) 선택구조 알고리즘

.·2024년 7월 3일
0

출처 : goat 자바스크립트 (책)

선택구조 알고리즘

조건에 따라 과정이나 결과를 선택하는 경우, '조건문' 또는 '분기문' 이라고도 함

if 문

괄호 안에 표시되는 조건을 평가하여 결과를 boolen으로 변환. true이면 코드 블록 실행

*숫자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은 모두 거짓으로 평가한다.
ㄴ Undefined는 값을 갖지 않는 변수를 나타내는 속성, NaN(Not a Number)은 숫자 형식이 아님을 나타내는 속성

if~else 문

조건이 true이면 코드 블록 실행, false이면 else의 코드 블록 실행

else if 문

첫 번째 조건문인 if가 거짓일 경우, 아래의 else if를 차례대로 평가하여 참일 때까지 수행 if, else if가 모두 거짓일 경우 마지막 else의 코드블록 실행

else 문과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항상 if문 다음에 사용하고 else문 보다는 먼저 사용한다.

switch 문

case 구문에 맞는 값이 들어왔을 때 조건이 실행
else if 문이 3~4개 이상일 때는 switch 문으로 활용하는걸 권장.

주어진 평가에 일치하는 case로 실행위치 이동

  • break;들을 제거하고 실행해볼 것
  • default: 맨 아래 작성, break되지 않은 이상 무조건 실행

3항 조건 연산자

어떤 조건을 기초하여 값을 할당하는 연산자로 3개의 항으로 구성된 형식

변수명 = (조건문) ? 참값 : 거짓값;


+++ 08.09

출처 : 코딩 자율학습 도서

if 문 vs switch

if문은 조건에 식(statement)을 사용하고, switch 문은 조건에 값(value)을 사용한다.

if 문

switch 문

switch 문은 조건으로 값을 받기 때문에 값이 범위일 때는 모든 값을 일일이 case문으로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범위를 이용하는 조건을 작성할 때는 if문이 적합

그러나 값이 하나일 때는 switch문이 더 적합하다.

profile
해야 되는 일이 하고 싶은 일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