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에 따라 정의된 코드 블록을 반복적으로 처리하는 반복문(loop)
// 변수이므로 let이 사용
for (let i = 0; i < 5; i++) {
console.log(i);
}
구구단 대표 예시
for (let i = 1; i <= 9; i++) {
for (let j = 1; j <= 9; j++) {
console.log(i + ' X ' + j + ' = ' + i * j);
}
}
for문은 횟수를 지정해 지정한 횟수가 끝날 때까지 블록문을 반복 실행하는 반복문으로, 조건식과 증감식이라는 독특한 실행 구조로 되어있다.
for(초깃값; 조건식; 증감식; {
// 블록문
}
외부의 for문 실행되면 내부 for문 다 완료하고 나서 다시 외부 for문으로 가서 끝날 때까지 반복하는..?
배열, 문자열 등 여러 개의 값을 갖는 반복 가능한 객체를 대상으로 반복문 구성
for ( 변수 of 반복 가능한 객체) }
// 반복적으로 수행할코드
}
eg
const YouTuber = ['곽튜뷰', '빠니보틀', '캡틴따거'];
for (const name of YouTuber) {
console.log(name);
}
배열의 요소를 순서대로 반환
문자열로 key를 사용하는 반복 가능한 객체를 대상으로 반복문 구성
for ( 변수 in 문자열 키를 사용하는 객체) {
// 반복적으로 수행할 코드
}
특정 조건이 참이라면 계속 코드 블록을 수행하는 반복문
let x = 0;
while (x < 10) {
console.log(x++);
}
반드시 한 번은 코드 블록을 실행하게 됨
while문의 조건이 항상 false 즉 거짓으로 평가되는데도 do 블록문이 한 번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ntinue는 반복문의 해당 회차를 수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 회차로 넘어가는 명령어
break는 반복문 자체를 종료하라는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