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맨틱 웹(Semantic Web)은 의미론적인 웹이라는 뜻입니다. 의미론적 웹은 HTML 상에 존재하는 요소들이 컨텐츠의 의미를 브라우저와 개발자에게 알려주는 작성 방식입니다. 더 쉽게 풀어쓰자면, 태그명에 의미(용도)가 드러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form태그는 회원가입, 로그인 등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곳에 사용하는 양식 태그입니다. form태그에 사용되는 속성엔 action속성과 method속성이 있습니다.
Table 태그는 표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태그입니다. 레이아웃을 잡을 때도 사용할 수 있지만, flex-box나 grid-system 등을 사용하고 table을 레이아웃 용도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목록 태그는 나열되는 목록을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리스트는 물론, 메뉴같은 반복되는 형식을 작성하는데 유용합니다.
img 태그는 사진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 태그입니다.빈 태그로 /는 작성해도, 안해도 상관 없습니다. 저는 주로 작성하는 편입니다.
HTML에서 링크의 역할은 외부 페이지, 또는 다른 컨텐츠로 이동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HTML 기초 부분에서 설명드렸던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링크가 이에 해당합니다.
글자태그란? 말 그대로 글자를 입력하는데 쓰이거나, 보조하는 태그들입니다. 글자와 관련된 태그는 매우 많지만, 이 포스트에서는 자주 쓰이는 h태그, p태그, span태그와 기타 몇 가지의 태그들을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HTML을 이루는 기본 태그들 에디터를 이용해 새 HTML파일을 생성하면 기본으로 들어가있는 태그들이 있습니다. 이 태그들은 대부분이 HTML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없어도 HTML파일 자체를 불러오는데는 문제가 없을지라도, 내가 원하는 형태의 컨텐츠를 제대로
HTML의 구조 HTML은 다양한 요소(elements) 및 태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소란, 기본적으로 글자로 이루어진 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덩어리는 데이터, 멀티미디어, 글자 등등 많은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요소는 엄밀히 말하면 태그와는 다른
HTML은 웹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를 이루는 마크업 언어입니다.우리가 보는 웹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웹의 유구한 역사와 HTML의 발전과정 등등등...에 대한 것은 우선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그래도 하나만 말씀드리자면,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