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LAN ?
virtual LAN (가상 랜) : 스위치의 기능 중 일부(허브나 브리지는 미지원)
한 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 대의 분리된 스위치처럼 이용하고,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다.
👉VLAN 사용 시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이 달라질 수 있다.
1.1 예시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4dede3fe-f803-4631-954a-ca8cd2a9f060/image.png)
- 본관과 별관 2개의 건물이 있고, 회사 전체가 3개의 네트워크로 나뉠때
- 본관 라우터에서 3개의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나와야 하고, 이 3개의 인터페이스는 각각 스위치 A, B, C에 연결되어야 한다.
- 별관에서도 똑같이 3개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면 다시 3대의 스위치를 설치하고, 맨 처음 스위치에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스위치끼리 연결해야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6ff358b4-7fcd-4317-bf6e-1c6a02a09293/image.png)
만약 VLAN 지원시
라우터는 스위치로 가는 링크 하나만으로 3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 하나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 스위치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눠줄 수 있다.
- A 네트워크의 호스트가 B 네트워크 호스트와 통신하려면 같은 스위치여도 라우터를 통해야 한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이기 때문이다.)
1.2 VLAN 장비
- 하나의 스위치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 사용한다.
네트워크를 나눈다는 말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눈다는 뜻이다.
👉스위치가 VLAN으로 나누어지면 나누어진 VLAN 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야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f84fe5ff-18cc-4245-a558-6eef3c75f89e/image.PNG)
위 그림에서 하나의 스위치 안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3개의 스위치가 존재한다.
👉각각의 스위치를 VLAN이라고 한다.
👉스위치의 각 포트들은 3개의 VLAN스위치 중 어디에도 속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0a837b2b-3c3b-48cd-bd46-c9fb98ce1e69/image.PNG)
위 그림에서
-
각 스위치별로 3개의 VLAN이 있으므로 3개의 VLAN 정보가 한번에 전송된다.
-
트렁크 포트(Trunk Port) : 하나의 포트를 통해서 서로 다른 여러 개의 VLAN을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포트
👉같은 VLAN끼리 스위치를 건너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VLAN 1은 VLAN 1끼리, VLAN 2는 VLAN 2끼리만 통신 가능(다른 VLAN끼리 통신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트렁크에서 패킷 전송 시 VLAN정보도 같이 전송된다.
👉어느 VLAN에 속한 패킷인지를 목적지에서 구분한다.
1.3 VLAN 종류
스위치가 VLAN을 나누는 방식에 따라서 Static과 Dynamic으로 분류된다.
1.3.1 Static VLAN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스위치의 각 포트들을 원하는 VLAN에 하나씩 배정한다.
대부분의 스위치에서 이 방식을 사용한다.
1.3.2 Dynamic VLAN
Static VLAN과는 달리 포트에 고정 VLAN을 배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포트에 접속하는 장비의 맥 주솔르 보고 주소에 따라 VLAN을 배정한다.
- 어떤 장비가 스위치에 접속하면 스위치는 자신의 기본 기능인
Learning
을 이용해 그 장비의 맥 주소를 배운다.
- 스위치는 해당 장비의 맥 주소를 VMPS(VLAN Membership Policy Sever)에 전송한다.
- VMPS 서버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보고 지금 들어온 맥 주소에 해당하는 VLAN을 찾은 후 그 정보를 해당 스위치에 알려준다.
VMPS : 들어온 맥 주소에 해당하는 VLAN을 찾아주는 통제 센터 역할을 하며, 주로 대형 스위치에서 제공한다.
- 백업 서버 : VMPS의 프라이머리 서버에 장애 발생 시 대신 역할 수행
- TFTP 서버 : 실제 맥 주소에 해당하는 VLAN 정보를 가진 FTP 서버
이동이 잦은 사무환경에 적합하다.
1.4 트렁킹
트렁킹이란 여러 개의 VLAN들을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 각 스위치에 여러 개의 VLAN이 있으므로 원래는 각 VLAN별로 링크를 만들어야 한다.
👉너무 많은 링크가 필요하게 된다.
- 마치 셔틀버스처럼 모든 VLAN이 하나의 링크를 통해 다른 스위치나 라우터로 이동하기 위해 트렁킹을 만들었다.
각 VLAN들은 트렁킹이라는 셔틀버스에 자기들의 패킷을 태울 때 이름표를 붙이는데, 붙이는 방식에 따라 트렁킹이 나뉜다.
- IEEE 802.1Q 트렁킹 : 표준 프로토콜
👉네이티브 VLAN 존재 : 네트워크당 하나만 존재하고, 다른 VLAN들은 모두 이름표가 있기 때문에 네이티브 VLAN 식별이 가능하다.
- ISL 트렁킹 : 시스코에서 만든 비표준 프로토콜
👉네이티브 VLAN이 존재하지 않는다.
1.5 VTP (VLAN Trunking Protocol)
VTP : 스위치들 간에 VLAN 정보를 서로 주고받아 스위치들이 가지고 있는 VLAN 정보를 항상 일치시켜 주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비표준)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1b3bf5e9-b8f7-492f-833a-89d6661ef5f0/image.PNG)
VTP를 미지원할 경우
스위치들에게 새로운 VLAN 하나를 추가할 필요가 생기면 스위치 A부터 E까지 5대의 스위치에 모두 VLAN 구성을 변경해야 한다.
👉지울때도 마찬가지 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d13791f7-0a1f-46f1-b2c3-fe12148cb986/image.PNG)
VTP를 지원할 경우
VTP 서버에서 한번만 VLAN 정보를 설정하면 다른 스위치와의 트렁크 링크를 통해서 VLAN 정보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
VTP에서의 VLAN 정보는 스위치간 트렁크 링크를 통해서만 전달된다.
👉이때 두 스위치 간의 트렁킹 방식은 상관없이 전달 가능하다.(IEEE 802.1Q or ISL)
1.6 VTP 메세지 형식
1.6.1 Summary Advertisement
- VTP 서버가 자기에게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들에게 5분마다 한 번씩 전달하는 메세지
👉자신이 관리하는 VTP 도메인의 구성에 대한 Revision 넘버를 보낸다.
- 스위치들은 Revision 넘버를 보고 자신들의 VLAN 정보가 최신 버전인지를 판단한다.
- VLAN 구성이 변하면 5분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Summary Advertisement를 전달한다.
1.6.2 Subset Advertisement
- VLAN 구성이 변하거나 VTP 클라이언트로부터 Advertisement Request 메세지를 받았을 때 전송된다.
- 실제 VLAN 정보가 Subset Advertisement에 저장되어 전달된다.
1.6.3 Advertisement Request
- 클라이언트가 VTP 서버에 Summary Advertisement 와 Subset Advertisement를 요청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클라이언트는 사진의 Revision 넘버보다 더 높은 Summary Advertisement를 전달받거나, VTP 도메인 이름이 바뀌거나, Subset Advertisement 메세지를 잃어버렸거나, 스위치가 새로 리셋된 경우에 VTP서버에 Advertisement Request를 전송한다.
1.7 VTP 구성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0ea78c15-7ff7-496e-9d13-f8fefe608ccd/image.PNG)
- VTP Domain Name이 세팅되어 있지 않고, VTP 모드는 디폴트인 서버 모드로 세팅된다.
- 현재의 VLAN 업데이트 상태를 나타내는 Revision 넘버는 아직 한번도 VLAN 업데이트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0으로 설정되었다.
- VLAN또한 디폴트 VLAN인 1번 VLAN만이 존재한다.
VTP Domain Name은 VLAN을 새로 만들거나 변경하기 전에 반드시 먼저 만들어야 한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