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VTP 모드
2.1 VTP 서버 모드
- VLAN을 생성/ 삭제하고, 이름을 변경하고, VTP 도메인 안에 있는 나머지 스위치들에게 VTP 도메인 이름과 VLAN 구성, Configuration Revision 넘버를 전달한다.
- VTP 서버는 VTP 도메인의 모든 VLAN에 대한 정보를
NVRAM
에서 관리하며, 스위치가 꺼졌다 다시 켜져도 VLAN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다.
NVRAM : 비휘발성 RAM
2.2 VTP 클라이언트 모드
- VLAN의 생성/ 삭제나 이름변경이 불가능하다.
- VTP 클라이언트는 VTP 서버가 전달해준 VLAN 정보를 받거나 받은 정보를 자기와 연결된 다른 쪽 스위치에 전달하는 것만 가능하다.
- VTP 클라이언트는 이 정보를 NVRAM에 저장하지 않는다.
👉만약 스위치가 리부팅되면 모든 VLAN정보가 소실되어 VTP서버로부터 다시 받아야 한다.
- 서버에 비해 몇 가지 제약이 있으나, VTP정보를자신의 메모리에 따로 보관하지 않으므로 메모리가 적은 스위치는 이 방식이 유리하다.
2.3 VTP 트랜스페런트 모드
VTP Transparent Mode
- VTP 도메인 영역에 있지만, 서버로부터 메세지를 받아서 자신의 VLAN을 업데이트하거나 자신의 VLAN을 업데이트한 정보를 다른 스위치에 전달하지 않는다.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 직접 VLAN을 만들고 삭제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자신만 알면 되고, 다른 스위치들에게 알리지 않는다.
- 서버로부터 들어온 메세지를 자기를 통해 연결된 다른 스위치쪽으로 전달해주거나 자기와 연결된 다른 스위치쪽에서 서버로 가는 VTP 메세지를 전달해 주는 역할만 수행한다.
👉전달만 하고 자신은 관여하지 않는다.
- 특정 스위치에서만 쓰려고 만든 VLAN이어서 외부 스위치가 이를 알 필요가 없을 경우, 즉 로컬 스위치에서만 사용할 VLAN을 가진 스위치에서 주로 사용한다.
- 자신의 VLAN 정보를 NVRAM에 저장한다.
2.4 모드 동작 예시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2f80da76-e7ff-474f-9cb5-6da879b32876/image.png)
스위치의 초기 VTP 구성에 변화가 발생했다.
👉스위치 A가 VLAN 구성을 시작했다.
- 스위치 A는 VTP 모드를 서버로 하고 VTP 도메인 이름을 Cisco로 바꿨다.
- 3개의 VLAN을 추가해서 VLAN 2, 3, 4 를 만들었다.
👉VLAN 1은 처음부터 존재했다.
- Config Revision 값이 3으로 변경되었다.
Config Revision은 VLAN이 새로 추가되거나 지워질 경우 1씩 추가된다.
👉3개의 VLAN이 만들어 졌기 때문에 3이 증가했다.
- 스위치 A는 VTP서버로서 설정이 완료되었다.
- B를 클라이언트 모드, C를 트랜스패런트 모드로 설정한다.
2.4.1 스위치 B의 경우
- A로부터 Summary Advertisement를 받고 자신의 VTP 도메인 이름을 Cisco로 변경후 Configuration Revision을 비교한다.
- 현재 자신의 Revision넘버(0)보다 높은 3이 들어왔으므로 자신의 VLAN을 업데이트 한다.
- VTP 서버인 스위치 A에게 Advertisement Request를 보내서 업데이트 된 VLAN 정보를 요청한다.
- 스위치 A가 Summary Advertisement와 Subset Advertisement를 전송한다.
👉Subset Advertisement에는 실제 VLAN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스위치 B는 자신의 VLAN 정보에 VLAN 2, 3, 4를 추가하고 Configuration Revision넘버를 3으로 변경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03d6ef6a-b3d6-478f-b6ea-4dd264bb4905/image.PNG)
VTP클라이언트는 VTP서버와 항상 VLAN 정보를 일치시킨다.
VTP 클라이언트는 Configuration Revision 넘버를 보고 항상 업데이트를 체크한다.
2.4.2 스위치 C의 경우
- A로부터 VTP도메인 이름과 Configuration Revision 넘버가 들어있는 Summary Advertisement를 받았으나 이 메세지를 자신의 VLAN 정보에 전혀 반영하지 않는다.
스위치 C가 VTP도메인 이름을 Cisco로 변경하고 VLAN 10과 20을 추가했다고 가정한다.
👉트랜스패런트 모드에서는 VTP도메인 이름 변경이나 VLAN 생성/삭제가 가능하다.
트랜스패런트 모드는 자신의 VLAN 정보를 다른 어떤 스위치에도 전달하지 않는다.
👉VLAN을 새로 만들거나 삭제해도 Configuration Revision 값이 항상 0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5ac61317-72ad-4f8c-811d-07f5e8526607/image.PNG)
트랜스패런트 모드 스위치가 메세지를 아예 막진 않는다 !
2.5 VTP Prunning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VLAN 정보에 대한 트래픽은 비록 모든 VLAN을 전송해주는 트렁크라고 해도 받지 않음으로써 트렁크의 대역폭을 절약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victoriapasta/post/098040f2-e412-431e-b29d-368e2e152863/image.PNG)
가정
- 스위치 A에서 G까지 모든 스위치들은 VLAN으로 세팅되어 있고 스위치들끼리는 트렁크로 연결되어 있다.
- VLAN5는 스위치 A와 스위치F에만 설정되어 있다.
스위치 F에 연결된 PC에서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하면 같은 VLAN으로는 모두 전달되어야 한다.
2.5.1 VTP Prunning 미설정시
VTP Prunning 미설정시 : 브로드캐스트가 트렁크를 통해서 모든 스위치쪽으로 전달된다.
👉각 스위치에 도착 시 스위치 A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스위치는 VLAN5에 속한 포트가 없기 때문에 이 브로드캐스트를 버린다.
👉이런 과정에서도 트렁크의 대역폭은 소비된다.
2.5.2 VTP Prunning 설정시
VTP Prunning 설정시 : 트렁크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보고 그쪽으로 갈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먼저 판단하여 갈 필요가 없는 쪽을 가지치기한다.
👉VLAN5를 가지고 있는 스위치 쪽으로만 길을 열어준다.
👉대역폭 낭비가 감소된다.
스위치 C는 VLAN5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스위치F에서 발생한 트래픽이 스위치 A쪽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 스위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스위치F에서 스위치C쪽으로 연결된 트렁크에서는 VLAN5의 정보를 통과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