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후 서버를 계속 켜 놓을 수는 없어서 AWS를 사용해 서비스를 배포해야겠다고 생각을 해왔는데 드디어 실천했네요. 프로젝트를 하면 당연히 배포도 해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저는 Spring , MariaDB를 사용했습니다.
EC2를 생성하기에 앞서서 AWS란 EC2란 무엇일까요?
EC2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서비스 중 하나로
한 대의 클라우드 컴퓨터의 비용을 주고 임대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https://aws.amazon.com/
계정이 없다면 먼저 위의 AWS에 접속해서 계정을 생성합니다.
계정을 생성 후 "가상 머신 시작" 을 들어갑니다.
위 이미지에 있는 페이지가 안 뜨면 왼쪽 상단의
서비스 - 컴퓨팅 - EC2 -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줍니다.
저는 Ubuntu 20.04 버전을 선택했습니다.
검색에 Ubuntu를 검색 후 20.04 버전을 선택해줍니다.
인스턴스 시작 페이지가 새롭게 바뀌었는데 혹시나 다른 페이지가 뜨면 윗쪽에 "이전 경험으로 옵트아웃" 을 누르면 위의 이미지에 있는 페이지로 바뀝니다.
프리 티어 딱 1개 가 있고 디폴트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디폴트로 두고 다음 !
처음에 여기가 8로 되어있었는데 프리 티어 최대 용량인 30으로 변경해 주고 다음으로 넘어 가줍니다.
다음!
규칙추가를 눌러서 8080과 MariaDB에서 사용할 포트를 추가 해줍니다.
그림 1
그다음 키 페어의 이름을 임의로 설정하고 키 페어 다운로드 후 잘 저장해놓는다. 서버 접속 시 사용해야 하는 보안 키이기 때문에 잘 챙겨 놔주세요!
그다음 인스턴스를 시작합니다.
그 후 인스턴스로 이동하고 조금 기다리면 인스턴스 상태가 실행 중이라고 뜨면 EC2 객체를 생성 완료 한 겁니다. 그 후 왼쪽 사이드바에서 "네트워크 및 보안" 아래 "탄력적 IP"로 이동해 주세요~
저는 먼저 만든 게 있어서 하나가 있지만 IP가 하나도 없을 때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을 눌러서 IP를 할당받습니다.
작업 - 탄력적IP 주소 연결로 이동해 줍니다.
그 후 인스턴스, 프라이빗 IP 주소에서 각각 선택 후 연결 클릭! 을 하면 객체 생성 후 IP까지 할당받아집니다. 이다음은 서버 접속을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