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6년차 프런트엔지니어

웹폰트 최적화 하기

웹폰트란? 폰트 web safe font -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설치된 폰트. 다운로드 없이 사용자에게 의도대로 표현이 할 수 있음. (Arial, Helvetica 등) web font -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해야 하는 폰트 웹폰트가 나온 이유 시스템에 폰트가 없다면 폰트를 보여줄 수 없음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표현할 수 없음....

2020년 1월 2일
·
6개의 댓글
·

모던 브라우저에도 꼭 es5를 써야 할까 (Differential Serving)

모던 브라우저에도 꼭 es5를 써야 할까 프로덕션 레벨의 서비스를 개발할 때는, es6를 모든 브라우저에서 사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es5로 바꿔주는 babel이라는 트랜스파일러를 씁니다. babel에 browser target을 지정해서 지원하고자 하는 브라우저 스팩에 맞게 문법을 변환해주죠. 그런데 사실, 이렇게 바꾸지 않아도 이제는 대부분 모던 브라...

2020년 1월 2일
·
3개의 댓글
·

corejs3로 대체하자

core-js@3 polyfill 라이브러리, 올해 3월 공개 core-js는 새로운 것은 아니고 babel과 babel-polyfill에서 이미 쓰고 있던 것 이제 core-js2와 core-js는 업데이트가 되지 않음 babel 7.4버전 이상부터 제대로 동작. 정확히는 proposal 옵션 현재 7.7인만큼 안정화 되었다고 판단함 기존의 p...

2019년 12월 3일
·
0개의 댓글
·

svelte가 빠른 이유

svelte에서는 angular, vue, react등 수 많은 reactive 프레임워크는 진정한 reactive가 아니라고 한다. 왜냐하면 가상 돔의 존재때문인데, 변경사항을 가상 돔에 반영하고 그 이후에 진짜 돔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가상돔에 반영하고 가상돔에서 변경된 사항을 비교해서 실제 어느 돔에 반영해야 할지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진짜 돔...

2019년 10월 4일
·
1개의 댓글
·

text-docration의 상속

text decoration은 기본적으로 부모엘리먼트에서 상속된다. 그러나 자식엘리먼트가 inlin-block이나 테이블, absolute, float속성을 가지고 있으면 상속되지 않는다. 다음을 보자 https://codepen.io/Vnthf/pen/wLzZvZ

2019년 6월 19일
·
0개의 댓글
·

타입스크립트의 타입가변성

타입 시스템에서는 Type variance(타입가변성)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타입과 서브타입의 관계를 서술한 것들인데 언어마다 각기 다른방식으로 동작합니다. 함수형언어의 경우는 타입가변성을 조절 할 수도 있습니다. Type variance에는 무엇이 있을까 공변 (covariane) 반공변 (contravariance) 무공변(invariance) 이...

2019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