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HTTPS에 대해 알아보자!
지금 내가 접속한 사이트가 보안된 웹 사이트인지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 위 이미지처럼 화면의 주소 바 옆에 있는 자물쇠 아이콘을 눌러보면 된다.
- 해당 아이콘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이 사이트는 보안 연결(HTTPS)이 사용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HTTPS
- HTTP Secure의 약자로, 단어 뜻 그대로 기존의 HTTP 프로토콜을 더 안전하게(Secure)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
흠... 단지 뒤에 S가 붙었을 뿐인데 왜 HTTP보다 안전하다는 걸까?
HTTPS는 HTTP 요청과 응답으로 오가는 내용을 암호화하기 때문이다.
아래 이미지는 HTTP로 보낸 요청을 'wireshark'라는 패킷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캡처한 것이다.
아래는 위 이미지와 동일한 요청을 HTTPS 프로토콜로 보냈을 때를 확인한 것
똑같은 요청임에도 데이터가 암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 이제 암호화 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데이터를 암호화를 할 때에는 암호화할 때 사용할 키, 암호화한 것을 해석(복호화)할 때 사용할 키가 필요하다.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하나의 키만 사용한다.
- 암호화할 때 사용한 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두 개의 키를 사용해야하는 공개 키 방식에 비해서 연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두 개의 키를 사용한다.
- 암호화할 때 사용한 키와 다른 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함.
여기서 두 개의 키를 각각 공개 키, 비밀 키 라고 부른다.
공개 키
-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든지 접근 가능하다.
보통 요청을 보내는 사용자가 공개 키를, 요청을 받는 서버가 비밀 키를 가진다.
이러한 공개 키 방식은 공개 키를 사용해 암호화한 데이터가 탈취 당한다고 하더라도, 비밀 키가 없다면 복호화할 수 없으므로 대칭 키 방식보다 보안성이 더 좋다.
그럼 이제 HTTPS 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들을 알아보자!
HTTPS는 HTTP 통신을 하는 소켓 부분에서 SSL 혹은 TLS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 인증과 데이터 암호화를 진행한다.
여기서 SSL이 표준화되며 바뀐 이름이 TLS이므로 같은 사실상 같은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SSL/TLS의 특징
- CA를 통한 인증서 사용
- 대칭 키,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을 모두 사용
그럼 SSL/TLS 프로토콜이 어떤 과정을 거쳐 서버 인증과 데이터 암호화를 진행하는지 알아보자!
HTTPS를 사용하면 브라우저가 서버의 응답과 함께 전달된 인증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서는 서버의 신원을 보증해준다.
먼저, 서버는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CA로 서버의 정보와 공개 키를 전달한다.
그 다음 CA는 서버의 공개 키와 정보를 CA의 비밀 키로 암호화하여 인증서를 발급한다.
그 다음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으면 CA에게 발급받은 인증서를 보내준다.
- 이 때, 사용자가 사용하는 브라우저는 CA들의 리스트와 공개 키를 내장하고 있다.
그 다음 우선 해당 인증서가 리스트에 있는 CA가 발급한 인증서인지 확인하고, 리스트에 있는 CA라면 해당하는 CA의 공개 키를 사용해서 인증서의 복호화를 시도한다.
CA의 비밀 키로 암호화된 데이터(인증서)는 CA의 공개 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므로, 정말로 CA에서 발급한 인증서가 맞다면 복호화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제 사용자는 서버의 인증서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하여 서버의 공개 키를 확보했다고 하자. 그럼 이 공개 키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게 될까?
아니다...
이 공개 키는 해당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공개 키 암호화 방식은 보안은 확실하지만, 복잡한 연산이 필요하여 더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
흠... 그럼 공개 키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함께 사용하게 될 대칭 키를 주고 받을 때 쓰게 된다.
대칭 키는 속도는 빠르지만, 오고 가는 과정에서 탈취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었지만,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대칭 키를 보낼 때 서버의 공개 키를 사용해서 암호화하여 보내준다면, 서버의 비밀 키를 가지고 있는게 아닌 이상 해당 대칭 키를 복호화할 수 없으므로 탈취될 위험성이 줄어든다.
먼저,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주고받을 때 사용할 대칭 키를 생성한다.
그 다음 클라이언트는 생성한 대칭 키를 서버의 공개 키로 암호화하여 전달한다.
그 다음 서버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비밀 키로 복호화하여 대칭 키를 확보한다.
그럼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대칭 키를 갖게되는 것이다!
이제 HTTPS 요청을 주고 받을 때 이 대칭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달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대칭 키 자체는 오고 가지 않아서 키가 유출될 위험이 없어졌다.
HTTPS는 이러한 암호화 과정을 통해 더욱 안전한 HTTP보다 안전하게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
정리하자면, 이렇게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CA를 통해 서버를 인증하는 과정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아우른 프로토콜을 SSL 또는 TLS이라고 말하고, HTTP에 SSL/TLS 프로토콜을 더한 것을 HTTPS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