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Concurrency를 보다 Actor를 알게되어 정리해본다.
Actor Model 개요
- 객체지향의 패턴에서 메소드 호출 방식이 비동기로 변경된 패턴
- Actor들은 모두 Thread 기반으로 동작하는 객체어야 한다.
- 또한 Actor는 메시지의 전송/수신에 대한 동기화 관리까지 포함한다.
- Actor 내부에서 동기화에 대한 처리를 보장한다.
Actor model이 풀고자하는 문제
- OOP를 생각해보자.
- method call을 하고, 내부 개체의 상태를 변경하면서 동작한다고 생각한다.

- 그런데 보통 OOP 환경에서 Thread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지는 않는다.
- 만약 위 그림을 Thread 접근까지 포함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을 가질지도 모른다.

- 위와 같은 상태는 공유 메모리에 동시에 접근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 lock과 같은 처리를 통해 임계 영역을 처리해줘야 한다.
Lock의 문제
- Concurrency를 제한한다.
- Thread를 일시 정지하고 복원해야 하는데, 이는 OS 차원에서 비싼 작업이다.
- Block된 Thread에서 어떠한 의미있는 작업을 할 수 없다.
- Deadlock을 유발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의 문제
- 기존 환경에서 Concurrency를 사용하려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작업을 위임해야 한다.
- 이를 Task-delegate concurrency라 한다.
- 이런 경우 넘어간 작업에 대한 Error를 작업을 넘겨준 Thread쪽에서 받을 방도가 없다.
- 아예 언어 차원에서 위임된 작업에 대해서도 Error까지 처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옳다.

Actor Model
위의 문제로부터 다음의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것이 Actor Model이다.
- lock에 의존하지 않고 캡슐화를 통해 동기화 문제를 처리한다.
- Cooperative Entities 모델을 사용한다.
- 전체 App이 서로에게 Signal을 보내고 값을 변경하면서 동작하도록 함
-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한다.
기본 구조

- MailBox: Queue
- Message
- Behavior: Massage에 따라 행동 결정 및 실행
- 자신의 State 변경
- Child Actor 생성 및 제거
- 다른 Actor에게 메시지 전송
- 등등
- State: Actor의 실행 상태(init, ready, closed) - 자신만 변경 가능
Lock, Blocking 대신 message 전달 방식을 사용
- 특정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 액터에게 message를 전달한다.
- 이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행위 자체가 Thread 실행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 각 Actor는 독립적으로 받은 메시지를 수행한다.
Error 처리

- Actor로 만들게 되면서, 어떤 Actor가 다른 Actor를 호출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 그러면서 Hierachy가 생기게 되는데, 그 덕에 하위 Actor의 실패 여부를 부모가 알아차릴 수 있다.
효용
- lock이 필요없다. 각 actor는 독립적으로 queue를 가진다.
- actor의 상태값은 해당 객체가 가진 queue로부터 넘어오는 동작으로만 처리된다. 동시성 문제가 해결된다.
정리
- Message Queue를 개체 내부에 두어 동기적 메서드 호출이 아닌 비동기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 Actor
- 내부적으로 동작 주체(Thread)를 가지기 때문에 lock이 필요없다.
- Actor끼리는 서로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으로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직접 변경은 불가하다.
이해를 위한 그림 모음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