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
- C언어의 데이터 타입 (C, C++)
문자 => 1Byte = 8bit => -128 ~ 127
부호x 문자 => unsignedchar => 1Byte => 0 ~ 255
정수 = short(2byte), int(4byte), long(4byte), longlong(8byte)
실수 = float(4byte), double(8byte), longdouble(8byte)
부호x 정수 => unsigned short(2byte), unsigned int(4byte), unsigned long(4byte)
- Java의 데이터 타입
문자 => 2byte
정수 => byte(1byte), short(2byte), int(4byte), long(8byte)
실수 => float(4byte), double(8byte)
논리 => boolean(1byte)
- Phython의 데이터 타입
문자 => str(지정x)
정수 => int(지정x)
실수 => float(8byte), complex(16byte) => Complex는 실수와 허수의 합으로 이루어짐
일시적 (지역적)
-> 자동변수 (스택공간에 존재)
-> 레지스터 변수 (레지스터에 존재)
영구적 (전역적)
-> 정적 변수 (내부) [스태틱]
-> 정적 변수 (외부) [스태틱]
-> 외부 변수 [익스턴]
ex) char => aa = 'A'
float => a = 1.5e3f;
longdouble => a =1.5784E300L;
-> scanf(), getchar(), gets(), printf(), putchar(), puts()
가,감,승,제 등의 산술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 [%(나머지), ++(증감), --(감소)]도 존재
두 수의 관계를 비교하여 참 또는 거짓을 결과로 얻는 연산자
비트별(0,1)로 연산하여 결과로 얻는 연산자
-> shift연산자
ex) a=5 / c = a>>2 (오른쪽으로 2비트 옮겨가라) => c=1 (0001)
ex2) a=5 / c = a<<2 (왼쪽으로 2비트) => c=20 (10100)
두 개의 논리 값을 연산하여 참 또는 거짓을 결과로 얻는 연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