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예시 코드1 (일반 하드코딩)
document.write("1.홍길동 <br/>");
document.write("2.홍길동 <br/>");
document.write("3.홍길동 <br/>");
document.write("4.홍길동 <br/>");
document.write("5.홍길동");
하드코딩을 하면 요구하는 코드가 길어질 수록 복잡해진다.
ex) 예시 코드2 (반복문 사용)
for (i = 1; i <= 5; i++) {
document.write(i + ". 홍길동 <br/>");
}
반복문을 사용하면 훨씬 적은 코드 수로 같은 결과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갯수나, 이름 같은 부분을 컨트롤하기 쉽지 않다.
ex) 예시코드3 (함수 사용)
function call(name, count) {
for (i = 1; i <= count; i++) {
document.write(i + ". " + name + "<br/>");
}
}
call("홍길동", 10);
-> call은 함수 이름
-> 각각의 props는? 홍길동 = name / 10 = count
call("신사임당", 3);
함수를 사용하면 이런식으로 반복문의 갯수와, 이름 까지도 컨트롤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