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서버 구축


- 서버 통신여부
- 방화벽 확인
- 셀리눅스 비활성화
- DNS 서버 지정 여부 확인
- 셀리눅스 레포지토리 수정
DHCP 패키지 설치
[root@dhcp ~]# yum install dhcp
# dhcp 관련 패키지 설치.
[root@dhcp ~]# vi /etc/dhcp/dhcpd.conf
[root@dhcp ~]# vi /usr/share/doc/dhcp-4.2.5/dhcpd.conf.example
# 예시파일. 4.2.5는 그때그때 달라질 수 있음.

[root@dhcp ~]# vi /etc/dhcp/dhcpd.conf
# dhcp 데몬의 설정파일. (위 예시와 같이 구성한다.)
subnet 211.183.3.0 netmask 255.255.255.0 {
**# 서브넷(풀) 정의. 부여받는 client입장을 고려.**
range 211.183.3.150 211.183.3.180;
**# IP 할당 범위**
option routers 211.183.3.2;
**# client의 GW**
option domain-name-servers 8.8.8.8;
**# DNS 서버 지정**
default-lease-time 600;
**# IP 대여 시간 600초**
}
[root@dhcp ~]# systemctl restart dhcpd
[root@dhcp ~]# systemctl status dhcpd
# 설정이 달라졌으니 반영

conf 파일 구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어느정도 문제 원인이 뭔지 알려준다.
- 하지만 전부 알려주는건 아니다.
테스트


- 서버를 하나 켜서 dhcp-server와 같은 대역인 vmnet8 대역에 두고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네트워크설정파일을 수정한다.

1.dhcp로 받아올 정보들을 주석처리하고
2.BOOTPROTO=dhcp로 하여 dhcp-client로 동작하게끔 바꿔준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 변경사항을 반영한다.


- dhcp-client가 외부와도 통신이 잘 되는걸 확인.

- dhcp 클라이언트에서 GW 잘 잡혔는지 확인.

- dhcp 서버에서 systemctl status dhcpd를 보면. 누군가 받아간것도 확인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