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과 네이티브 앱의 기능 모두의 이점을 갖도록 수 많은 특정 기술과 표준 패턴을 사용해 개발된 웹 앱
PWA는 운영체제의 여러 특별한 권한을 부여받기 때문에, 웹 서버와의 보안 연결은 필수다
Web App Manifest : 사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담는 제이슨JSON 파일
서비스 워커 관련해서는 엄청난 수의 가이드가 있어, 원하는 작업 유형에 맞는 제작 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모질라Mozilla에서 제공한 가이드는 아주 훌륭하다.
확장성이 좋고, 깊이 있는 앱같은 웹을 만드는 것을 지향한다.
웹 주소만 있다면,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저장공간을 잡아 먹지 않음
서비스 작업자(Service Worker) API : 웹앱의 중요한 부분을 캐싱하여 사용자가 다음에 열 때 빠르게 로딩할 수 있도록 도와줌
→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아도 빠르게 구동되며, 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을 보낼 수도 있음
안전 : PWA는 반드시 HTTPS로 서비스돼야 한다
프로그래시브 : 점아주 다양한 실행 환경(기기, OS 등)과, 특히 다양한 사용자에게 웹사이트가 잘 맞춰지도록 해준다.
반응형 : 기기의 크기나 창 크기에 관계없이, 주어진 화면에 맞는 최적의 레이아웃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유사 앱 경험 : 더욱 일관되고 매끄러우며 편한 사용자 경험(즉 “유사 앱”이 암시하는 의미)을 제공할수록, 재방문하는 사용자의 수와 매출이 높아질 가능성이 커진다.
네트워크 독립성 : 서비스 워커를 사용해 오프라인에서도 작동이 가능함
검색 용이 : W3C 매니페스트 및 서비스 워커 등록 범위 덕분에 '앱'으로 식별되어 검색이 가능함
재참여 가능 : 푸시 알림과 같은 기능을 통해 쉽게 재참여가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