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이란 무엇인가?World Wide Web(WWW)의 줄임말으로서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HTML이란 무엇인가?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어로 일반적인 텍스트 뿐만 아니라 링크,이미지,동영상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닮아 있는데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일반적이다.URI를 입력할 수 있는 주소 표시 줄이전 버튼과 다음 버튼북마크새로 고침 버튼과 현재 문서의 로드를 중단할 수 있는 정지 버튼홈 버튼사용자 인터페이스 - 주소 표시줄, 이전/다음 버튼,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하고 접속을 끊어버림HTTP 통신은 요청을 응답하고 접속을 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를 알 수 없음쿠키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데
클라이언트가 보낸 HTTP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코드1xx :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함 (Informational) 2xx : 요청 성공적으로 받음 (Success)3xx :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 필요 (Redirection)4xx : 클라이언트단
웹상에서 존재하는 자원을 고유한 url로 구분하여 자원정보를 주고받는것.Method \- POST, GET, PUT, DELETE 등등Resource \- URI \- 모든 것을 Resource(명사)로 표현하고, 세부 Resource에는 id를 붙임 Mess
HTTP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담당정적 컨텐츠 제공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 제공동적 컨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클라이언트 요청을 WAS에 보내고, 처리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 전달웹 서버 종류Apache, Nginx, IIS 등DB
네이버, 페이스북, 구글의 서비스(로그인 등등)를 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고 싶을때회원정보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Access Token을 통해 토큰ㄱ밧과 관련된 고객 정보를 해당 서비스에 요청할 수 있음해당 서비스는 이 토큰을 검증하고, 발급된게 맞다면 해당
JSON Web Token (JWT) 은 웹표준 (RFC 7519) 으로서 두 개체에서 JSON 객체를 사용하여 가볍고 자가수용적인 (self-contained) 방식으로 정보를 안전성 있게 전달해준다.헤더는 두가지 정보를 지님typ : 토큰의 타입alg : 해싱 알고
가장 널리 보편적으로 쓰이는 기술사용자가 API Key를 발급 받고해당 API를 사용하기 위해 Key와 함께 요청을 보냄애플리케이션은 요청이 오면 Key를 통해 유저정보를 확인Key의 인증과 인가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 반환Key가 유출되면 대비가 힘들다따라서 주기적
로그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확인이 어려워 진다.따라서 log4j 라는 표준에 맞게 정리된 로깅 레벨을 사용하자로깅 레벨은 총 7단계지만,보통 아래 5단계로 말한다.DEBUGINFOWARNERRORFATALALL < DEBUG < INFO < WARN &
User Interfaceui 는 사용자가 마주하는 디자인, 레이아웃, 기술적인 부분디자인은 폰트, 색, 줄간격 등 포함하고기술적인 부분은 반응성, 입출력단계,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포함좋은 UI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높은 만족도를 가져야하고 주관적인 불만족을 최소화 시
Client Side Rendering최초 요청시 HTML을 비롯한 CSS, js 등 리소스를 받아옴이후 서버에는 데이터만 요청하고, 자바스크립트로 뷰를 컨트롤 함처음 렌더링 할때는 SSR이 빠르겠지만 이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는 CSR이 빠름Server Side
기기에 최적화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네이티브 앱모바일 기기에 직접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앱각기의 모바일 OS에서 제공하는 툴과 언어등에 따라 기능을 최대한 살림높은 사양의 그래픽과 성능을 자랑하면서 구동 속도가 빠른 편디바이스 전체에 액세스 권한을 가질 수 있음높
웹과 네이티브 앱의 기능 모두의 이점을 갖도록 수 많은 특정 기술과 표준 패턴을 사용해 개발된 웹 앱PWA는 운영체제의 여러 특별한 권한을 부여받기 때문에, 웹 서버와의 보안 연결은 필수다Web App Manifest : 사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담는 제이슨JSON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