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문제를 파악해 보면, 0 제거, 제거한 0의 갯수를 더해준다, 결과물의 길이를 이진수로 변환, 반복이다.
이진수 가 보자~ 하고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빨리 풀렸다.또 코드 생긴 게 꽤나 파이써닉하지 않을까 하고 혼자 기분이 좋아져서 기록한다
포인트는, 끝말잇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즉 해당 단어의 끝과 다음 단어의 처음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 하나와 기존에 등장했던 단어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이 끝났다. 가채점 상으로 14개를 맞춘데다 부분점수가 있으니 넉넉하게 합격했을 거다. 이런저런 세미나도 가고 컨퍼런스도 가고 지원도 하고 코테도 보고 면접도 보고... 하면서 정신 없이 살다 보니 막상 코드를 안 짰다. 스터디를 하며 깃 클론을 하려고 오랜만에(이게 문제일까?) 우분투를 켰는데.... 그러니까, 터미널을 켰는데. ...
이래저래 고민했는데, 일단 (100-p)/s를 계산해 각 기능을 개발하는 데에 드는 기간을 계산하고, for문을 돌려 첫 번째 기능 개발에 필요한 기간보다 더 짧게 걸리는 경우 count에 1씩 더하고 더 길게 걸리는 경우는 그때까지의 count를 answer에 추
로드맵 따라잡기! https://roadmap.sh/backend 브라우저란 무엇인가? 옛날옛날에 컴퓨터를 켜면 항상 제일 먼저 클릭하는 버튼이 있었다. 누르면 창이 열리고, 그 때 당시 시작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었던 네이버가 켜졌지. 지금도 사람들은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시대는 가고 이제 크롬, 사파리, 웨일 등 다양한 브라우저가...
로드맵 따라잡기! https://roadmap.sh/backend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 인터넷이란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컴퓨터끼리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통신하기 위해서는 라우터를 통해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이 라우터와 다른 라우터를 연결해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 전화 통화를 위해 깔려 있는 케이블을 통...
프로그래머스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0 짝수와 홀수를 판단해야 할 때 나는 항상 2로 나누고 나머지를 판별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온 숫자의 개념이 나를 그렇게 만들었다. 그러니 짝수
프로그래머스를 풀고 있는데,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니 역시나 아주 짧고 간결하고 효과적이다. 그 중에 map()에서 내가 써 보지 않았던 방식으로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했기에 이리저리 살펴보다가 간략하게 기록해두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