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DR: 사용 가능한 IP대역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표기법이다.특히 AWS 클라우드로부터 AWS VPC에서 사용하고 싶은 IP 대역을 설정할 때, VPC안 서브넷에서 IP 대역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서브넷 마스크: 부여 받은 IP중 불변 영역의 IP를 나타낸다.CI
앞에서 정리한 AWS 네트워크 글에 따라 실습 목표는 다음과 같다.VPC 설정하기SUBNET 생성하기(MULTI AZ 적용)PUBLIC SUBNET 내에 EC2 생성해서 외부에서 접근해보기우선 VPC 이름을 SeungJoo-VPC로 정한 후CIDR를 172.16.0
AWS에서 방화벽은 2가지가 있다INSTANCE(서버) 레벨의 방화벽 ← statefulSTATEFUL 특성을 가지고 있어 디폴트로 OUTBOUND는 열려있지만 INBOUND는 닫혀 있어 허용되는 요소를 아래와 같이 설정해줘야 한다.EC2에 들어올 수 있는 IP, P
PRIVATE SUBNET 내 INSTANCE를 외부와 통신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IGW+ ROUTE TABLE을 통해 PUBLIC SUBNET에 있는 PUBLIC EC2는 INBOUND, OUTBOUND요청을 설정했다. 반면 PRIVATE SUBNET 내에
\*\*Local-to-bastion.pem\*\*이라는 Private key를 생성해준다.Local에 다운로드 되어있는 것을 확인했다.Public Subnet에 Bastion이라는 인스탄스를 만들어준다.주의할 점은 INBOUND 규칙에 SSH 프로토콜과 22Port
AMI는 AMI 커뮤니티에서 \*\*amazon/amzn-ami-vpc-nat-2018.03.0.20230807.0-x86_64-ebs 을 검색해서 넣어준다.\*\*AWS 공식 NAT 인스턴스 AMI (Pre-configured Amazon Linux AMI) 는 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