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아까 내부함수 호출하는쪽으로 새로운 클래스로 뽑아서 새로 만든다. 이것이 가장 권장하는방법이다.또는 클라이언트 쪽 한칸 뒷단계에서 external호출 -> internal호출 2줄로 작성할 수도 있긴하다. 수정자 주입으로 자기자신을 다시 받아서 그 받은거를 ca
스프링 AOP의 첫번째 문제는 함수내부호출의 경우 이다. external, internal모두 AOP로 프록시 등록해서 스프링 빈에는 둘의 프록시 객체가 등록되게된다.하지만 external에서 함수 내부에서 자신의 클래스의 internal을 호출하게되면 스프링빈의 프
실전에서 사용하는 AOP적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자 EX 예외터지면 해당함수를 일정 횟수 반복하는 AOP붙여줄 어노테이션을 만들어준다.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은 코드를 일정횟수 반복하게 하는 @Aspect를 만들어준다.사용할 함수에 붙여준다.Bean등록을 까먹지않는다.사용해
다음은 포인트컷 표현식을 사용해서 어드바이스에 매개변수를 전달할 수 있다.this, target, args,@target, @within, @annotation, @args이런식으로 사용하면 memberService.hello("helloA"); 여기의 helloA를
execution의 기능에서 타입부분만 사용하는 느낌이다. 하나 주의할점은 execution과는 다르게 부모타입을 적는다고 하위까지 인정안해준다. execution의 기능에서 args만 사용하는 느낌이다. 여기서도 주의할점이 있는데 execution은 정직으로 판
포인트컷을 편리하게 표현하기위해 표현식을 사용하는데 @Pointcut("execution(\* hello.aop.order..\*(..))")보통 이와같다.이것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execution부터 알아보자public java.lan
이런식으로 그냥 @Around에 포인트컷 같은거 하나더 추가해서 넣어주면 작동이됩니다.다만 순서는 보장이 안된다 해결법은 아래쪽에서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포인트컷 들을 따로 클레스를 빼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일단 따로 클레스 만들어주고(함수는
@Aspect사용할때 포인트컷을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Pointcut이런식으로 여기에다만 경로를 지정하고 함수명을 @Around("allOrder()")사용할곳에 가져다 쓰면된다.반환타입은 void코드내용비우기public, private둘다가능 이런 조건들로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크게 핵심 기능과 부가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기본적으로 service를 만든다면 주문로직이 핵심기능이고, 이기능의 시간을 측정하거나 로그를 띄운다면 이것이 부가 기능이 될 수 있다. 로직을 보통 controller, service ... 이런식으
이전까지는 우리가 포인트컷, 어드비아스를 만들어 어드바이저를 만들고 빈에 등록해서 사용했다. 이를 더 간편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Aspect사용원래는 어드바이스를 만드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애 @Aspect붙여주고 어드바이스함수위에 @Around붙여주
스프링 라이브러리에 spring-boot-starter-aop을 추가하면 프록시 팩토리를 자동으로 bean으로 등록해주며 이전에는 프록시 팩토리를 bean으로 등록하면서 페키지 설정 이런거 좀 해줬는데 아에 할 필요가 없다. 생각해보면 어드바이저에는 포인트컷이 있어서
빈등록은 컴포넌트 스캔이나 설정파일을 통해서 등록할 수 있다.이전에는 설정파일을 만들면서 스프링빈에 등록해줄때 내가 프록시를 만들어서 연결해준후에 프록시를 등록해줬는데 너무 코드가 복잡했다. 이에 스프링은 빈 후처리기라는것을 지원한다.빈이 등록될때는 설정파일이나 컴포
프록시 펙토리를 실제로 적용한다면 우리가 사용할 어드바이스를 코드로 작성해준후에 빈등록을 프록시를 반환하는 형태로 만들어주면 적용이 완료된다. 프록시팩토리를 통해서 우리는 넣고싶은 기능을 하나의 클레스에서 작성해준후에 DI를 조합하는 설정 class파일에서 조립만
이런 프록시 패턴을 보면 역할을 나눌 수 있다.어떠한 target들에게 적용할것인가 = 포인트컷어떠한 기능들을 적용할것인가 = 어드바이스목표 target하나 + 적용기능하나 = 어드바이저 위쪽에서 배운 프록시펙토리에 이부분이 추가된느낌이다.위에서 배운 그냥 어드바이스
우리의 시스템로직에 앞뒤로 부가기능을 넣기위해서 프록시를 도입해었다. 다만 실제 class 가 있다면 CGLIB를 아용해서 조금 편하게 사용했고,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면 JDK동적 프록시를 통해서 프록시를 도입했다.이를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프록시 팩토리라는것을 스
우리의 시스템로직에 앞뒤로 부가기능을 넣기위해서 프록시를 도입해었다. 다만 실제 class 가 있다면 CGLIB를 아용해서 조금 편하게 사용했고,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면 JDK동적 프록시를 통해서 프록시를 도입했다.이를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프록시 팩토리라는것을 스
JDK CGLIB 보다 더 편한 기술이 있기때문에 이해만해도 좋다.CGLIB 기술도 JDK와 비슷하긴하다 이런걸 구현하면서 구현할 수 있는거같은데 얘는 실체를 상속받으면서 프록시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이미 인퍼테이스 없이 구현된 기능도 프록시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리플렉션을 이용한 동적프록시 JDK버전이다.지정된 인터페이스 만들어서 그것을 구현하며 동작가능한데 invoke에 대상 객체, 함수, 함수의 매개변수들등 이런거 정해진거 구현하며 함수사에이 실행할거 넣어주면 된다.다만 JDK버전은 실재로직이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있어야 가
지난번에 배운 프록시방식도 결국 문제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이렇게 넘어갈때마다 프록시를 코드로 내가 생성해줘야한다. 이떄는 3번사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3개다 프록시 코드는 비슷한데 이를 묶을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결과를 서버에 직접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대리자를 통해서 대신 간접적으로 서버에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내가 직접 마트에서 장을 볼 수도 있지만, 누군가에게 대신 장을 봐달라고 부탁할 수도 있다.여기서 대신 장을 보는 대리자를 영어로 프록
스프링은 컨테이너로 각 class를 붙이고 붙여서 작동이 된다.그런데 class를 앞뒤로 붙이며 객체지향적으로 만든 아키텍처에 다른 수직방향으로 비슷한 기능들이 들어가야한다면 어떡할까?그에 해당하는 기능들은 로깅,권한 보안, 트랜잭션, 메소드 시간측정등이 있다.이런 기
JDK 동적 프록시 한계인터페이스 기반으로 프록시를 생성하는 JDK 동적 프록시는 구체 클래스로 타입 캐스팅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어떤 한계인지 코드를 통해서 알아보자 @Autowired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Impl;이부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