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은 JAVA에서 많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의 핵심 가치는 아래와 같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기반을 제공해서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가장 유명한것은 IoC(제어의 역전), DI(의존성 주입), AOP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줄임말로 객체 관계 매핑을 의미자바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에서 의미하는 객체와 RDB(Relational Database)의 테이블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방법ORM을 사용하면서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객체지향적으로 조작할 수 있

spring boot로 DB를 연결하면서 다른사람들에게 노출되면 안되는 url, id, pwd가 있다 이런 값들은 어떻게 숨겨야 할까? env 키와 값을 설정하는 것이다.intellij IDEA는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오른쪽 위에서 Edit Configuration

스프링 부트 JPA에서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싀의 테이블에 대응하는 클래스엔티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쓰일 테이블과 칼럼을 정의엔티티에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테이블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Likes의 엔티티 예시@Entity해당 클래스가 엔티티임을 명시하기 위한 어노테이션클래스

다수의 엔티티는 관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유저에 엔티티에서는 상품 주문의 엔티티와 연결이 되고 상품 주문의 엔티티는 상품의 엔티티와 연관이 되어 유저가 상품을 선택했을때 엔티티의 관계를 통해서 관련 데이터를 찾아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반환해 준다.그럼 스프링 부트에서는
Swagger란? Swagger는 RESTful API를 설계하고 문서화하는데 사용되는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Swagger는 API의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API의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여

최근에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테스트 코드로 로직을 확인하는 과정이 점점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문제를 미리 발견할 수 있습니다.리팩토링의 리스크가 줄어듭니다.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해서 직접 테스트하는 것보다 테스트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Test Code를 작성 이유와 어떻게 작성하는지 포스트했다면 이번 글에서 부터는 실직적으로 Test Code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트 하겠다.@Test : 테스트 코드를 포함한 메서드를 정의합니다.@BeforeAll :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페이징이란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개수로 나눠 페이지를 구분하는 것레코드 필드(field)의 집합으로, 데이터로 다루어지는 단위. 처리의 기본 단위라 할 수 있음. 이 레코드의 집합 단위가 파일(file)임. JPA에서는 이 같은 페이징 처리를 위해 Page와 Pa

저번 포스트에서는 쉽게 간편하게 파일없이 Edit Configurations의 Environment variable로 env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Spring Boot env 설정하기) 그럼 이번 포스트에서는 env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프로젝트 진행 중 로그인과 세션 관리를 위해 여러 방법을 찾아본 결과, Spring Security와 JWT(Json Web Token)를 활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관련 자료를 조사해보니, 현재 버전에 맞지 않은 정보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적용해보고 삭
Spring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마다 가장 먼저 부딪히는 고민 중 하나는 바로 “파일 구조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입니다.MVC 기반이라는 전통적인 구조가 있지만, 프로젝트의 규모나 목적에 따라 전혀 다른 방식이 더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레이어 단위 분리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Entity 설계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떠오릅니다:mappedBy는 어디에 쓰고 주체가 무엇인가?생성자는 @Builder로 설정하는 게 맞을까?관계는 단방향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CreatedDate, @LastModifiedD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다 보면, 1:1 관계에서 외래 키(FK)를 기본 키(PK)로 사용하는 설계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Thymeleaf란 기존 JSP를 이용해서 코딩을 했었는데 이제 html 표준에 맞게 또는 스프링 팀에서 강력하게 권장한다. Html 문법을 기반으로 작성을 한다. Thymeleaf의 특징은 서버가 구동대면 th:text, th:each에 대응되는 변수로 변경이 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Thymeleaf를 활용한 서버 사이드 렌더링 방식을 직접 서버를 띄워보며 실습 중심으로 다뤄보겠습니다. Thymeleaf는 서버에서 HTML 뷰를 렌더링한 뒤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사용자가 페이지
이번 포스트는 Thymeleaf 방식으로 유저 페이지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어서 쓰겠습니다. 이번 목표 JPA를 활용해 유저 정보 가져오기 유저 페이지에 테이블로 랜더링하기 코드 1. Users 데이터 가져오기 기존 작성한 User Entity > User 엔

이번 포스트에서는 Thymeleaf에서 <form>을 활용하여 유저 정보를 입력받고 저장하는 방법을 정리해두려 합니다.현재 유저 페이지에 바로 적용하진 않지만, 필요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기록용으로 작성합니다.form 페이지를 작성한다.유저의 전화번호(mobil

이번 포스트로 유저페이지에 대한 모든 구현을 끝내겠습니다.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