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c++] 2589 보물섬

jw·2022년 10월 7일
0

백준

목록 보기
37/141
post-thumbnail

문제 설명

https://www.acmicpc.net/problem/2589

보물섬 지도의 각 칸은 육지(L)나 바다(W)로 구성되며 이동은 상하좌우로 이웃한 육지로만 가능하다.
보물은 서로 간에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데 있어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육지 두 곳에 나뉘어 묻혀있다. 육지를 나타내는 두 곳 사이를 최단 거리로 이동하려면 같은 곳을 두 번 이상 지나가거나, 멀리 돌아가서는 안 된다.
첫째 줄에는 보물 지도의 세로의 크기와 가로의 크기, 두번 째 줄부터 지도의 정보가 입력으로 주어진다. 지도의 가로, 세로의 크기는 각각 50이하이다.
이 때, 보물이 묻혀 있는 두 곳 사이를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시간을 출력하는 문제다.

아이디어

  1. 각 육지에서 bfs를 통해 가장 큰 최단거리를 구한다.
    ex) 좌표 (1,0)의 육지에선 가장 큰 최단거리는 (4,1)까지이므로 6이다.
    이런식으로 모든 육지 위치에서의 최대 최단거리를 구해준다.
  2. 그 값들 중에서 최대값을 구한다.

전체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n, m, y, x;
int a[51][51];
int visited[51][51];
string s;
int dy[4] = {0, 1, 0, -1};
int dx[4] = {1, 0, -1, 0};
int mx, res;

int bfs(int sy, int sx)
{
    queue<pair<int, int>> q;
    q.push({sy, sx});
    while (!q.empty())
    {
        tie(y, x) = q.front();
        q.pop();

        for (int i = 0; i < 4; i++)
        {
            int ny = y + dy[i];
            int nx = x + dx[i];

            if (ny < 0 || nx < 0 || ny >= n || nx >= m)
                continue;
            if (visited[ny][nx] || a[ny][nx] == 0)
                continue;
            visited[ny][nx] = visited[y][x] + 1;
            mx = max(mx, visited[ny][nx]);
            q.push({ny, nx});
        }
    }
    return mx;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0);
    cin.tie(0);

    cin >> n >> m;

    for (int i = 0; i < n; i++)
    {
        cin >> s;
        for (int j = 0; j < m; j++)
        {
            if (s[j] == 'L')
                a[i][j] = 1;
            else
                a[i][j] = 0;
        }
    }

    // visited 초기화 필수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a[i][j] == 1)
            {
                fill(&visited[0][0], &visited[0][0] + 51 * 51, 0);
                visited[i][j] = 1;
                int o = bfs(i, j);
                res = max(res, o);
            }
        }
    }
    cout << res - 1 << "\n";
}
profile
다시태어나고싶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