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ack
을 통해 만든 프로젝트를 GitHub
에 저장하여 Netlify
로 배포까지 완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2-1..gitignore 파일 생성
.cache .DS_Store // macOS node_modules dist
.gitignore
파일에 제외할 폴더를 명시하고 버전 관리를 시작합니다.
2-2.버전 관리
$ git init $ git status $ git add . $ git commit -m 'Create project' $ git log
webpack-template-basic
이름으로Github repository
에 생성 해줍니다.- Github 사이트 바로가기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orosy/webpack-template-basic.git $ git push origin master
Netlify
를 통해 원격저장소에 업로드한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과정 입니다.3-1.import an existing project
Netlify
에 로그인해서Add new site
다음import an existing project
버튼을 클릭 합니다.
3-2.Continuous Deployment
GitHub
저장소를 클릭하여 지속적인 배포를 진행 합니다.
3-3.webpack-template-basic
- 업로드한 저장소의 이름
webpack-template-basic
을 검색하고 선택해줍니다.
3-4.Basic build settings
Netlify
에게 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를 제품화시키는 명령어인Build command
와 이를 통해 제품화된 결과가Publish directory
라는 옵션에 지정하는 폴더에 있음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다른 이름의 폴더에 프로젝트가 들어있다면 폴더명을 변경해줘야 합니다.
Deploy site
를 클릭하여 사이트 배포를 완료 합니다.
3-5.배포 완료
- 시간이 지나면
Netlify
가 제품화를 시키고 배포를 완성합니다.https
로 시작하는 주소를 클릭하면 배포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배포한 사이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