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전 생성과 업로드의 이해
01.사용자(local, 로컬)
- git이라는 버전관리 시스템을 로컬(local) 환경에 설치하여 파일 버전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02.로컬 환경 설정
- git을 사용하기 위해 로컬 환경에서 꼭 한 번 사용해야 하는 명령어
// 1. 개행 문자(Newline) 설정
// 줄바꿈 처리를 할 때, crlf라는 개념을 운영체제에 맞게 자동화해주는 설정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macOS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Windows
// 깃(git)의 구성으로 전역화에서 사용할 내용을 등록
// 그 내용은 core.autocrlf 값을 macOS에선 input으로 Windows에서는 true로 설정
// 2. 사용자 정보
// 커밋(버전 생성)을 위한 정보 등록
$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
// 되도록이면 GitHub에 등록된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사용
// 3. 구성 확인
$ git config --global --list
// 구성 확인 후에 Q키를 눌러서 종료!
03.git --version
- 현재 나의 로컬(local)에 설치된 git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
git --version
04.git init
- 현재 프로젝트에서 변경사항 추적(버전 관리)을 시작한다.
- 해당 명령어를 통해
master
라는 브랜치가 생성되며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 프로젝트 내에 있는 파일들이 업로드 될 준비가 된다.
git init
05.git add index.html
- 변경사항을 추적할 특정 파일(index.html)을 지정한다.
- index.html 파일이 브랜치 내부에서 staging area로 가게 되며 버전으로 만들게 될 준비가 된다.
- 프로젝트 내부에 있다고 해서 모두 버전 관리를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특정한 파일을 지정해야 한다.
staging area
: Git에는 Staging Area라는 공간있는데 어떤 변경사항이 저장소에 커밋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 중간단계이다.
git add index.html
06.git add .
git add .
07.git commit -m '프로젝트 생성'
- Staging area로 보낸 파일들을 메시지(-m)와 함께 버전을 생성
git commit -m "프로젝트 생성"
git commit -m "main.js 추가"
git commit -m "index.html 수정"
08.git remote add origin
- origin이란 별칭으로 원격 저장소를 연결한다.
- 내가 연결하고자 하는 원격 저장소(repository)의 주소를 적어준다. (당연히 연결할 repository는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된다.)
- 최종적으로 로컬 환경과 원격 저장소가 연결되는 통로가 만들어진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JangJinWon/starbucks.git
09.git push origin master
- origin이란 별칭의 원격 저장소로 버전 내역 전송한다.
- 최종적으로 만들어놨던 연결 통로를 통해 프로젝트가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된다.
git push origin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