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것과 상관 없이 항상 동일한 크기인 단위
px pt
| 단위 | 관련 사항 |
|---|---|
px | 픽셀 |
pt | 포인트 |
px을 사용한다.: 다른 요소(ex. 상위 요소의 폰트 크기/viewport 크기)에 비례하여 조정되는 단위
% em rem ch vw vh
| 단위 | 관련 사항 |
|---|---|
% |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 |
em | 부모 요소의 폰트 크기 |
rem | 브라우저의 기본 폰트 크기 (1rem = 16px) |
ch | 너비 "0"에 상대적인 값 |
vw | viewport 너비의 1% |
vh | viewport 높이의 1% |
em과rem의 차이
rem: root 요소의 폰트 크기로,1rem이 브라우저의 기본 글자 크기이다.rem은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설정한 기본 폰트 크기를 따르므로 접근성에 유리하다.em은 부모 요소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변경되므로 계산하기 어렵다.
vw,vh와%의 차이: 너비나 높이를
vw,vh를 이용해 지정하는 것과width: ~%,height: ~%로 지정하는 것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vw,vh: 브라우저의 viewport를 기준으로 한다. (브라우저가 기준)%: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한다.
: 디바이스의 너비(width)에 따라 유동적인 레이아웃이 적용되는 웹사이트
ex. 데스크탑, 태블릿, 스마트폰 세로 모드, 스마트폰 가로 모드...
➡️ 디바이스 크기별로 CSS를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이때, 디바이스 크기를 나누는 기준은 px로 정한다.

Extra small devices : 핸드폰
@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 600px) {} /* 너비 600px 이하 */
Small devices : 세로 태블릿, 큰 핸드폰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600px) {} /* 너비 600px 이상 */
Medium devices : 가로 태블릿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768px) {} /* 너비 768px 이상 */
Large devices : 노트북, 데스크탑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992px) {} /* 너비 992px 이상 */
Extra large devices : 큰 노트북, 데스크탑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1200px) {} /* 너비 1200px 이상 */
: @media를 사용하여 미디어 별로 style을 지정하는 것
@media screen and (min-width: 800px) { /* 최소 길이가 800px일 때 */
.container { /* .container의 margin을 1em 2em으로 설정 */
margin: 1em 2em;
}
}
: 웹사이트의 보이는 영역
vw (viewpoint width) : 1vw = 보이는 너비의 1%
vh (viewpoint height) : 1vh = 보이는 너비의 1%
100vw 100vh 사용❔ 학습 후 궁금한 점
ch단위가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했다..- 웹사이트를 만들 때 body요소의 너비와 높이는 주로 어떤 단위로 지정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