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팀내 아이콘 추가 방법이 변하면서 해야할 작업들이 많아졌습니다. 불편함을 겪던 도중 자동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자동화를 만들어가는 과정과 SVG 정규화에 도달하는 과정을 다루었습니다

dev-server 환경에서 HMR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배운 디버깅 방법들도 정리하여 올렸습니다.

디버깅의 방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LocatorJs부터 React DevTools, 성능 탭 활용, 테스트 코드 작성, 로깅 시스템, 소스맵 관련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모달을 구현하면서 애니메이션 언마운트 타이밍을 핸들링했던 경험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직접 전역 상태관리를 하나씩 구현하면서 전역관리가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만들어졌는지 알아보았습니다.

Object.keys가 string[] 타입을 반환하는 이유에 관해 찾아보았습니다. Github Issue와 공식 문서를 통해 이를 알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타입스크립트의 디자인 원칙과 타입 안전성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유저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Microsoft Clarity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msw와 next app router에서 통합하는 트러블 슈팅 과정을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