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랩스 풀스택 과정 KDT 소개
(https://nova.igrowth.kr/fullstack/)
25.08.26(화)부터 KDT훈련과정인 HDC Labs NOVA 1기 를 시작했습니다.
저는 스마트 IoT 풀스택 과정을 듣고있는 전공자 1인입니다.
한주 마무리로 WIL 회고 블로그 작성을 통해 일주일 동안 배운 내용과 실습을 정리하고,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 개선해볼 점, 이후 계획 순으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파트에선 제가 강의를 들으면서 적었던 내용을 베이스로 일주일 동안 무엇을 배웠는지 기록했습니다.
기록했던 내용을 그대로 적은 부분이 많아 가독성이 떨어져 보일 수 있으니 핵심 주제만 보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강의는 "선도기업 특강I (1일)", "IoT 개론(3일)" 로 진행했습니다.
강사분들은 모두 HDC랩스 현직자분들이 나오셔서 강의를 진행해주셨고,
HDC랩스에는 어떤 사업 분야가 있으며, 각 사업 분야 별로 어떤 프로젝트를 하는지 설명해주셨다.
저는 설명한 내용들을 노션에 기록하면서 내용을 정리했고, 기술적인 내용이 들어간 부분은 나중에 다른 카테고리로 따로 기록하려 합니다. 이번 회고에서는 강의에서 어떤 내용을 위주로 알려주셨고, 어떤 실습을 진행했는지만 설명하겠습니다!
오전에 HDC 플랫폼 LAB 김O섭 부장님께서 강의를 진행해주심
주 내용은 BESTIN 웹사이트
베스틴몰은 HDC 랩스가 운영하는 온라인몰로 스마트홈 IoT 관련 제품들을 다양하게 판매하는 웹사이트이다.
주요 제품으로 도어락, 스마트 조명, 스위치, 전동커튼, 리모컨, 허브 등
이러한 디바이스 제품들을 개발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는 기술 요소로 무선통신과 배터리 기술을 말씀해주셨고, IoT 허브 관련해서 Matter 프로토콜에 대한 개념 설명도 진행해주셨다.
이후 강의로는 HDC HR 분야에서 일하시는 김O열 매니저님과, 이O훈 매니저님이 진행해주셨다.
주 내용으론 HDC 랩스 사업 분야에 대해 설명을 진행해주셨고, 아래 사이트에 분야소개가 자세히 나와있다.
주요 사업분야들로 무엇이 있는지, 어떤 사업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해주셨다.
마지막으로 강의해주신 분은 기술혁신연구소장이신 박O민 소장님께서 강의진행해주셨다.
주 내용으론 R&D 에 대해 소개해주셨다.
HDC 랩스에서 R&D 분야는 어떤 연구를 하고 있으며, 아키텍쳐와 플랫폼의 정의를 설명해주시며 랩스 플랫폼인 insite와 inbase에 대한 설명을 함께 진행해주셨다.
엔지니어와 공학에 대한 정의도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우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할지, 고민하고 공부해야 한다는 내용도 인상깊게 들었던것 같다.
랩스의 실제 채용 면접 평가 시트들을 보여주시면서, 면접 간에 어떤 지표로 점수를 측정하는지,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 등등 앞으로 개발자로서 어떤 역량을 가져야할지의 설명도 도움이 되었다.
IoT 개론 수업이라 읽지만, 이것 또한 선도기업 특강과 비슷하다고 생각이 든다. 다만 강의를 진행하시는 분들이
랩스 2~4기 분들이셔서 나이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고, 몇 년 전 우리보다 먼저 취업하신 선배분들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IoT풀스택 과정에선 주로 백엔드 분야의 현직자분들이 오셨고, 나 역시 백엔드로 취업을 준비하고있는 취준생이라 Q&A를 통해 취업과 관련된 질문들을 할 수 있어 도움이 되었다.
현재 진행된 IoT 개론은 3일동안 진행되었고, 돌아오는 월요일날 수업으로 마무리된다(해당 수업도 간략하게 내용 추가할 예정). 주로 실습위주로 수업이 구성되어서 간략하게 어떤 주제로 수업이 진행되었는지 짚는 정도로만 이야기하려 합니다.
인프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진행해주셨습니다. MSA 구조에 대한 설명, 실제 도어락 플랫폼에 적용한 MSA 구조, 인프라에 적용했던 AWS 제품은 어떤걸 사용했는지 설명해주셨습니다.
배포 환경 구성에 대한 간략한 실습(ppt로 구성 흐름 소개)을 진행했고, Q&A로 취업 준비에 필요한 준비과정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서류/플젝/면접/코테 등).
스마트홈, 인사이트에 대해 설명을 진행해주셨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떤 서비스를 만들지 큰 그림을 그려보는 기획 단계를 실습으로 진행했다. 3명씩 팀으로 모여서 시중에 나온 아무 서비스를 골라 이 서비스는 어떻게 인프라가 구성되었을까 고민하고 그림으로 표현하는 실습이다(나같은 경우는 당근마켓을 골랐다).
현장에서 CCTV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응하는 안전관제 부분을 설명해주셨다.
AI CCTV서비스를 운영할 때, 어떤 정책이 필요할지, 예상되는 문제점은 어떤게 있을 지 생각해보는 실습을 가졌고, 실제 현업에서는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알려주셨다.
AI CCTV서비스를 구현하게 되면 어떤 API 목록이 필요할지 API 문서를 간략하게 작성하는 실습을 진행했고, 실제 프로젝트 진행 시 개발 프로세스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을 해주셨다.
AI 회의록 서비스가 무엇인지 흐름을 보여주고, 어떻게 인프라가 이루어져있고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생각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잘 모르는 부분은 인터넷 검색, 매니저님께 질문하며 예상 구조를 작성했고, 이후 실제로 기술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비교하는 시간을 가졌다.
개념적으로 통신 방법에 대해 많이 알게된 시간이였다(WebSocket, SSE 등).
로봇 배송 서비스 (홍*진 매니저)
로봇이 배민 라이더 역할을 하는 서비스로, 실제로 로봇이 주문을 받으면 현관문까지 배송을 해야하는데,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들이 있을지, 로봇과 서버간의 통신이 어떤식으로 이루어질지 예상해보는 실습을 가졌다.
오후에는 사전에 준비해주신 코드를 가져와 Spring 기반으로 API 코드를 작성을 어떻게 해야할지 설명듣고, 특정 함수를 구현하는 실습을 진행했다.
“현직자 참여강의”
현직자 분들이 직접 강의해주신다는 점이 매력으로 다가왔습니다. 실제 현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들을 보면서
서비스를 어떻게 구현했는지 머리속으로 그려보고, 앞으로 어떤걸 공부해둬야 저런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지 생각할 수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시간 관리의 효율성”
사실 이 부분은 KDT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거라 생각은 합니다. 비전공자분들도 함께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강의이다보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한게 맞고, 실습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부분도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전공자로 공부를 조금 하다오신 분들은 중간시간을 활용해 강의노트를 정리하거나, 채용준비를 하는 시간으로 활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일주일 간 KDT 훈련을 경험해보니, 아침에 부지런하게 일어나서 노량진으로 출근해 저녁 6시까지 남아있는 생활이 공부를 많이 할 수밖에 없는 환경입니다. 이전에 집에서 느긋하게 취업준비를 했던 것과 다르게, 뭐라고 채용공고 한글자라도 더 보게 되고, 그동안 미뤄왔던 자소서나 포폴 관리도 조금씩 하게되는 저의 모습을 보니 이전의 나태했던 나의 생활을 반성하게 됩니다. 최근 일주일 동안 정말 많은 하반기 공채가 떳는데!! (금융권, 삼성, LG 등등..), 오랫동안 취업준비기간을 끝내고 빠른 취업을 위해 도전을 해야겠다 느꼈습니당..
일단 월요일 현직자 강의가 마무리되면, 이제 KDT 정정기간은 끝납니다.. 이후엔 프로그래밍 강의로 아이그로스 강사분께서 강의를 쭉 ~~ 해주실 예정이라 알고 있어요. 일단 계속 강의를 들으면서, 공채준비랑 강의내용 정리를 하면서 한주간 열심히 살아보려고 합니다!!
정리하자면 1. 강의 듣고 열심히 노션 정리하기, 2. 하반기 공채 지원하기
이렇게 2가지를 베이스로 잡고 한주 살아보려 합니다..
공채 지원하면서 코딩테스트도 준비해야되는데, 코테준비는 손을 놓은지 오래 되어서 감을 찾는게 필요하긴 합니다! 함께 수업듣는 수강생분들이랑 같이 스터디를 해볼지 고민이 됩니다;
HDC랩스, AIoT 인재 양성 교육과정 개강…현직 개발자 직접 참가
(https://www.etnews.com/20250828000430)
일주일간 배운 내용들과 겪은 내 생각을 주저리주저리 적어봤습니다.. 인터넷 서칭을 하면서 블로그 정리를 하는데 KDT 한다는 기사가 있더라고요 ㅎㅎ 실제 강의하는 현장이 그대로 찍혀있어서 놀랐습니다 (다행히 얼굴은 안나왔네요).
또 블로그를 적으면서 보니 다음 기수가 10월 중에 또 모집하는걸로 나와있더라고요? 제 블로그가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제가 배운 내용들을 꾸준히 적으면서 이 KDT 과정을 최대한 설명하려고 하니, 제가 쓴 내용을 보면서 어떤 과정인지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만 여기서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