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트 파싱(Soft Parsing) : sql 구문이 문법적으로 맞는지 기본적인 체크 과정하드 파싱(Hard Parsing) : 실행 계획(풀스캔 할 지, 인덱스 태울 건지 등 ...)Execution Plan : 실행 전 계획Trace : 실제 실행 과정사용자가 실

: DB 당 1개씩 존재 > DB의 핵심 연산, 프로세싱 작업들을 하는 중요한 프로세스Smon \- ora_smonPmon \- ora_pmon

1\. client에서 요청을 보낸다2\. Web Server는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다2-1. 이 과정에서 동적인 처리는 WAS를 통해 처리한다2-2. 요청이 많을 경우, Load Balancer를 통해 부하가 적은 WAS에 처리를 요청한다2-3. Database

SortingBars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랜덤한 값을 모아놓은 배열 데이터에 대해 Redux를 한번 다뤄본게 Redux에 대한 최초의 경험이었다. 이후 데이터를 다루는 과정에서 비동기적으로 API 요청을 통해 처리해야하는 일들이 대다수였고 이러한 작업을 좀 더 정확하

Gitlab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배포한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한다.Gitlab RunnerVercelGitlab Project > Settings > CI/CD 의 경로로 진입하여 Runner를 등록해야 한다.나는 이미 등록되어있는 Shared Runner를 이용하여

회사에 입사하고 처음으로 맡은 임무는 5년전에 구축된 NextJS 프로젝트의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것이었다.아주 오래전에 만들어져서 그 이후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한마디로 죽은(?) 상태의 프로젝트였다.5년전 환경설정에 모든것이 맞추어져 있고 그 이후로 아무도 손

배열 내 최빈값을 리턴해야 함. 단, 최빈값이 여러개면 -1을 리턴해야 함나의 풀이다른 풀이: 3항 연산자를 이용한 깔끔한 풀이가 인상깊다... 계속 공부하자

게임 맵의 상태 ma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캐릭터가 상대 팀 진영에 도착하기 위한 최단거리를 리턴해야 함. 다만 목적지에 도착이 불가능할 경우, -1을 리턴해야 함.조건BFS(Breadth-First Search)너비 우선 탐색을 통해 노드에서 인접한 노드를 먼

유저의 현재 피로도 k와 각 던전별 "최소 필요 피로도", "소모 피로도"가 담긴 2차원 배열 dunge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유저가 탐험할수 있는 최대 던전 수를 리턴해야 함 1) DFS를 통해 모든 경로를 탐색한 후, 그에 따른 탐험 가능한 던전 수를 co

다음과 같이 카펫의 노란색, 갈색 격자의 갯수가 주어졌을 때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리턴해야 함.조건나의 풀이1) 노란 격자의 수 = (가로 - 2) \* (세로 - 2)2) 세로의 최솟값 = 3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numbers가 주어졌을 때 (ex. '17') numbers에 해당하는 숫자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숫자 중 소수의 갯수를 리턴해야 함 (ex.7, 17, 71)1) 숫자들의 조합을 만들어 리턴하는 함수 생성(getPermutations):

학생 1,2,3이 문제를 찍는 방식이 아래와 같이 주어지고 정답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이 정답을 맞춘 학생을 리턴해야 함.1) 학생마다 반복되는 기본패턴을 배열에 넣는다2) 반복되는 패턴이 종료되면 나머지 연산자(%)를 통해 처음으로 돌아갈 수 있도

1. 프로젝트 시작 계기 부트캠프가 끝나고.. 알고리즘 공부를 열심히 하던 중 유튜브에서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프로젝트를 접하게 되었다. >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pFXYym4Wbkc&feature=share 특히 부트캠

프린터의 작업순서 priorities와 출력하고 싶은 작업물의 location을 받아 location에 해당하는 작업물이 아래 규칙에 따랐을 때, 몇 번째로 출력되는지 리턴해야 함. \* queue 활용1) priorities에서 가장 큰 요소가 배열의 맨 앞에 오도록

문자열 s가 올바른 괄호로 이루어져 있는지 판단하여 true/false 리턴해야 함나의 풀이stack 활용1) 반복문으로 s를 돌면서 si 값이 '('라면 stack에 push 하기2) si값이 ')'라면 bracket으로 stack.pop()과 짝이 맞는지 확인하여

주어지는 n쌍 만큼의 유효한 괄호쌍 '()' 에 대한 경우의 수를 모두 담은 배열을 리턴해야 함DFS(Depth For Search)를 활용해야 함이해를 위한 DFS 알고리즘 도식

주어지는 문자열 s의 괄호가 올바르게 닫혔는지 판별하여 true/false를 리턴해야 함stack을 활용하여 괄호의 짝이 맞는지 확인하면서 그 외 예외처리를 해주어야 함1) 열린 괄호로 시작하며 s.length가 홀수가 아닌지2) 열린 괄호와 닫힌 괄호의 갯수가 일치하

1) Pharsing: 실행할 Context에 대해 분석하는 단계 2) Execution : 순차적으로 Context를 실행하는 단계Global object를 생성한다. window : global object'this'를 생성한다this : window변수와 함수를

주어지는 문자열 s,t를 받아 둘의 관계가 Anagram이면 true를 아니라면 false를 리턴해야 함Anagram이란?단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순서를 바꾸어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것중복 찾기 문제와 마찬가지로 sort()를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