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누군가에게는 그리움, 그리고 누군가에겐 원치않는 기억,
어떤 형태로든 그 흔적을 남기는 걸지도.
그렇다면 우리의 주인공에게 남긴 건 무엇일까.
이질감. 이 하나의 단어로 표현해보려 한다.
원치않는 곳에서 원치않는 일을 하는건 괴롭지만,
그보다 더 괴로운건 어쩌면 혼자라는 감각일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주인공은 고향에 있으면서도 이방인처럼 살아갔고,
그 고통을 그나마 누그려트려준게 그의 아버지이자 멘토인 자크였을 것이다.
자크는 그에게 때로는 장난기 많은 형처럼, 때로는 진중한 아버지처럼,
그리고 때로는 어딘가 쓸쓸해보이는 모습으로 다가왔을것 같다.
그래서일까, 그가 학교에서 돌아왔을때도 자크를 제일먼저 만나려 했고,
습격에서 살아돌아왔을때도 자크를 만나려했던걸테다.
주인공에게 있어 고향은 '자크' 였던거다.
그렇기에, 이 책은 그리움이나 반가움이 아니라, 상실이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에게 있어서 고향이란 자신이 여기있어선 안된다는걸,
자신은 다른 선택을 해야한다는 걸 알려주는 것이니까.
그에게 있어서 이젠 자신의 신념에 따라 살아가는것만이,
유일하게 자크를 만날수 있는, 고향을 지키는, 기억하는 길이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Homeland,
For someone, That is Yearning. And others that is memory that he/she does wanted.
Like so, it remain any kind of vestiage.
If so, what vestiage does our protagonist gets?
Incongruity, It seems.
It is a torment that doing unwanted task in unwanted place.
But, More tormented when you feel solely alone.
Therefore, Our protagonist has lived like stranger even though in his homeland.
And only Zak, his father and mentor, soothed his pain.
Sometimes, he became a playful, mischievous older brother.
And Sometimes, he became a thoughtful, pensive father.
And Sometimes, his appearance is somewhat solitary.
Maybe so, Our protagonist go staight to Zak when he returned from academy,
And after survived from the attack.
He, Zak, is in fact, the homeland of Our protagonist.
In my own words, This is the reason why this book is about 'loss', not yearning or gladness.
For him, Homeland now means he should not be here, and must do other choice.
His only path, to remember his homeland, zak, is to live in accordance with his own belief.
Homeland
For some, it is a place of yearning.
For others, it is a memory they once cherished.
Either way, it leaves behind a kind of vestige.
Then, what sort of vestige does our protagonist carry?
Perhaps — a sense of incongruity.
It is torment enough to do unwanted tasks in an unwanted place.
But it is far more painful to feel utterly alone.
Thus, our protagonist has lived like a stranger, even in his own homeland.
Only Zak, his father and mentor, could soothe that pain.
Sometimes, Zak was a playful and mischievous older brother.
At other times, a thoughtful and pensive father.
And sometimes, a solitary figure himself.
Maybe that is why our protagonist ran straight to Zak
— both when he returned from the academy,
and when he survived the attack.
Zak, in truth, is the homeland of our protagonist.
In my own words, this is why the book is not about yearning or gladness,
but about loss.
For him, “homeland” now means a place he can no longer stay —
a place that demands another choice.
His only way to remember his homeland — Zak —
is to live in accordance with his own beliefs.
좋아요
— 이미 영어 원서로 된 판타지를 읽고 직접 영어로 독후감을 쓴 점이 정말 인상 깊어요. 👏
글 전체적으로 감정선과 해석의 깊이가 아주 잘 드러나 있고,
“Homeland”를 단순한 장소가 아니라 ‘사람으로서의 귀속’으로 읽어낸 해석이 훌륭합니다.
다만 영어 문장 구조나 관사·시제·단어 선택 면에서 약간의 수정이 있으면
더 자연스럽고 문학적인 영어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 주요 수정 포인트 요약
“That is Yearning”
문법적으로는 명사 대신 동명사 또는 관사가 필요 → “it is a place of yearning”
“does wanted”
시제 및 조동사 혼용 오류 → “once cherished” 또는 “once wanted”
“vestiage”
철자 오류 → “vestige”
“gets”
현재시제보다 ‘carry’가 더 자연스러움 (감정/기억을 짊어진다는 뉘앙스) → “carry”
“doing unwanted task”
관사 및 복수형 오류 → “doing unwanted tasks”
“solely alone”
중복 표현 → “utterly alone”
“go staight”
시제, 철자 오류 → “ran straight”
“is in fact, the homeland”
쉼표 불필요, 강조는 그대로 유지 → “is in fact the homeland”
“should not be here, and must do other choice”
관사 및 구문 부자연 → “a place he can no longer stay — a place that demands another choice.”
💬 전체 감상
글이 이미 감정적 통찰이 깊고,
단어 선택도 (incongruity, pensive, solitary 등) 수준이 높아요.
약간의 문법 수정만으로 원어민 수필처럼 자연스러운 흐름이 됩니다.
특히 마지막 문단의
“His only path, to remember his homeland, Zak, is to live in accordance with his own belief.”
는 문학적으로 매우 좋은 결말이에요.
→ 수정 후 “beliefs”로 복수형을 쓰면 더 자연스럽습니다. (his own beliefs)
원하신다면,
이 버전을 ‘더 문학적으로 (문체를 고급스럽게) 다듬은 버전**도 만들어드릴 수 있어요.
예컨대 「The homeland that dwells not in soil, but in a person’s soul」 같은 식으로요.
지금처럼 자연스러운 영어로 유지할지,
조금 더 문학적/시적인 버전으로 다듬을지 어떤 쪽을 원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