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프로젝트를 배포할 클라우드 서비스로 AWS, GCP, Oracle Cloud중에 고민을 하였습니다.비용 측면에서 AWS, GCP, Oracle Cloud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AWS는 1년의 시간, GCP는 3개월의 기간만 무료 사용할 수 있다는 제한이
지난 포스팅에서는 Oracle Database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이어서 Oracle Cloud instance를 생성하고 mobaxterm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인스턴스 메뉴에 접속하고 인스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인스턴스 생
지난 포스트에서 Oracle Instance를 생성하고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이어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docker를 사용하여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Spring Boot DB연결하기 1편에서 oracle cloud db를
Duck DNS라는 무료 도메인 사이트를 이용하였습니다. {원하는 주소}.duckdns.org 형태로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Duck DNS를 통해 DNS 발급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서 회원가입 후 로그인합니다. https://www.duckdns.org/
Jenkins가 Build할 때 메모리를 많이 잡아 먹기 때문에 EC2인스턴스 2개를 사용해서 하나는 Jenkins를 실행시키고, 하나는 SpringBoot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구상하였습니다.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 및 지속적
이전 포스팅에서 Jenkins, Docker를 사용해서 CI/CD환경을 구축했는데 크게 2가지 정도 개선해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이전에는 push이벤트가 발생할 때 build CI/CD가 이루어 졌었습니다. 이를 master 브랜치에 pull request가 발생했을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PowerShell을 사용하여 로컬에서 빌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원격 서버로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스크립트는 Gradle 빌드, 파일 전송 및 원격 서버에서 Docker 컨테이너를 재시작하는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스크립트 개요 이 스
지난 포스팅에서 PowerShell 스크립트를 통해 SpringBoot프로젝트를 원격 서버에 배포를 하는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무중단 배포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무중단 배포는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로, 서비스를 중단하지
이전까지는 이미 세팅되어있는 온프레미스 서버를 사용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편하게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윈도우 운영체제가 깔려있는 온프레미스 서버에 리눅스를 설치해야하는 상황이 있어서,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