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8.Wed.
✍ 복습
DB
- 포맷: 컴퓨터 저장장치에 자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고 기획을 나누는 것.
- 파일 시스템의 문제: 데이터 종속과 중복의 문제
- 데이터베이스: 여러 사람에게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모든 사용자는 DBMS를 통해서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로, 행과 열로 구성된 표(table)를 이용해 데이터를 표현한다.
- 행: 행의 숫자를 카디널리티(cardinality)라고 한다. 각 행은 기본키에 의해 구분된다.
- 기본키(primary key): 행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컬럼
- 컬럼(coulmn): 테이블을 구성하는 최소단위로 컬럼의 숫자를 디그리(degree)라고 한다.
- 외래키: 다른 테이블의 데이터를 참조하는 컬럼, 서로 관련된(관계) 둘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하는 연결 고리
- 필드: 행과 열이 교차하는 지점의 하나의 값
- null: 현재 알 수 없는 값, 선택입력
- 관계의 종류: 1:1, 1:N, M:N
- 관계의 표현: 다쪽에서 1쪽의 기본키를 참조
- 외래키로 지정되면 참조 테이블의 기본키에 있는 값은 입력할 수 없다. 단 널 값 입력은 가능하다.
setInterval(func, time);
setInterval 된 기능을 정지하려면 clearInterval함수가 필요
- 시계만들기

clearInterval함수의 인자로 intervalID가 필요하기 때문에 let timer라는 변수를 만들고 undefined 값 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