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12.21 구글 개발자그룹 송도 페스티벌에서 배운 내용입니다
1. 복잡한 문제를 분해하라
- 효율성 극대화: 문제를 작은 단위로 나누면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관리 용이성: 코드 블록이 작고 명확할수록 디버깅과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2. 추상화 레벨을 조정하라
- 큰 그림과 디테일의 균형:
- 큰 그림은 문제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세부 사항은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메타인지 훈련:
- 내가 생각하는 범위와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려 노력하세요!
3. 가설로 접근하라
- 명확한 문제 정의: 문제 해결 전 가설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세요.
- 예: "이 방법으로 해결될 것이다"라는 전제 아래 실행.
- 효율적 문제 해결: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입니다.
4. 디버깅과 회고: 실패에서 배우라
- 버그 분석: "왜 실패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원인을 추적합니다.
- 레슨런(Lesson Learned):
- 실패에서 배운 교훈을 기록하고 반복적으로 활용하세요.
5. 협업의 힘을 활용하라
- 의견 교환의 가치:
- 다양한 관점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놀라운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 코드 리뷰:
- 코드 품질 향상: 버그 감소 및 표준화.
- 학습과 성장: 팀 내 지식 공유.
- 협업 강화: 팀워크와 문제 해결 능력을 극대화.
6. 좋은 코드란 무엇인가?
✅ 특징
- 간결함: 단순하고 읽기 쉬운 코드.
- 가독성: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표현.
- 확장성: 새로운 기능 추가가 용이한 설계.
✅ 코딩 원칙
- DRY 원칙 (Don't Repeat Yourself):
- 중복 제거: 동일한 로직을 한 번만 작성하고 재사용 가능하도록 설계.
- 모듈화: 기능별로 코드를 나누어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세요.
- KISS 원칙 (Keep It Simple, Stupid):
- 단순성 유지: 복잡한 구조를 피하고 핵심에 집중.
- 불필요한 요소 제거: 필요한 것만 남기고 군더더기를 없애세요.
7. 리팩토링: 품질 개선의 핵심
- 리팩토링 프로세스:
- 기존 코드 분석.
- 테스트 작성.
- 리팩토링 실행.
- 테스트 및 검토.
- 결과:
- 코드 품질 향상.
- 유지보수와 확장 용이성 증대.
8. 코드 리뷰의 중요성
- 코드 품질 향상: 더 나은 설계와 표준화된 코드 작성.
- 학습 기회: 동료의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지식 습득.
- 팀워크 강화: 협업을 통해 더 나은 결과 도출.
- 개발 속도 향상: 반복적 오류 예방 및 문제 해결 속도 개선.
✅ 리뷰에서의 핵심 질문
- 이 코드의 의도는 무엇인가?
- 더 나은 방법은 무엇일까?
- 어떤 점을 개선할 수 있을까?
결론
개발 잘하는 방법은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효율적인 해결책을 설계하며, 동료와 협업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하는데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