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네트워크는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함께 연결된 컴퓨터, 서버, 라우터, 스위치 및 기타 네트워킹 장비와 같은 상호 연결된 장치의 모음입니다.이러한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연결되어 정보와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가장 널리 사용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방식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각각의 방식은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적합한 상황이 있습니다.1) 설명 :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2) 특징 : 가장 일반적인 전송 방식1:

컴퓨터 또는 내부에서,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방식을 정의하는 규칙체계. 기기 간 통신을 교환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대해 상호 합의를 요구하는데, 이런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 MDN서로 통신하는 방식에 대한 일련의 규칙네트워크 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정보 전송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이더넷 카드(LAN카드)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허브는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

HTTP는 WWW에서 브라우저와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웹에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리소스를 요청하고 전달받는 데 사용됨데이터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것HTTP는 기본적

HTTP의 보안 버전으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SSL/TLS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 암호화. HTTPS는 웹사이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 시 기밀성, 무결성, 인증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SSL/TLS프로토콜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이다. 사용자가 'naver.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경우 DNS는 해당 사이트의 올바른 IP주소를 찾는 역할을 한다.일반적으로 우리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외우기 어려운 IP주소 대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쿠키는 HTTP의 stateless한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대표적 수단으로, 서버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되는 <이름, 값>형태의 데이터이다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즉 REST란1\.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2\.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이란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입력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공격이다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도록 한다일반적으로 JavaScript를 사용하여 공격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민감한 데이터를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접속하여 받아온 정적 컨텐츠(html, 이미지, js 등)를 메모리 또는 디스크에 저장해 놓는 것을 말한다. 이후 HTTP요청을 할 경우 해당 리소스가 캐시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재사용함으로써 응답시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클라이언트가
"쿠키와 세션의 가장 큰 차이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입니다.쿠키는 클라이언트 쪽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 <이름, 값>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서버 자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반면, 세션은 서버에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서버가 클라이언

UDP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IP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사용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전용 종단 간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UDP는 속도와 효율성이

데이터를 하나씩 전송한 후, 수신자로부터 확인 응답(ACK)을 받을 때까지 대기한다.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만 처리하므로 구조가 단순하다.송신자는 데이터를 전송한 뒤 수신자의 ACK 응답을 기다린다.수신자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받았다는 ACK를 송신자에게 보내면 다음 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프로토콜이다.데이터 전송 전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의 손실이나 순서 오류를 방지하며, 전송된 데이터를 정확히 수신자가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연결 지향적이다. (데이터 전송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