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string)은 따옴표를 사용한다.
const st1 = "wooseong"
const st2 = 'jeon'
// 템플릿 리터럴(보간 가능)
const str3 = `Good ${str2}`
console.log(str3) // `Good jeon`
탬플릿 리터럴이란?
내장된 표현식을 허용하는 문자열 리터럴, 여러 줄로 이뤄진 문자열과 문자 보간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옴표는 총 3종류!
"하이"
'하이'
`하이`
숫자(number)은 정수 및 부동소수점 숫자(floating point number)를 나타낸다..
const n1 = 123
const n2 = 12.345
숫자가 아닌 숫자
NaN
(Not-a-Number)은 숫자가 아닌 숫자를 나타낸다.
const str = 'Hello World'
console.log(Number(str)) // NaN
const num = '123'
console.log(num + undefined) // NaN
컴퓨터로 숫자를 표현하는 한계로 10진수로 표현되는 소수를 2진수로 표현하려면 간혹 무한소수가 발생한다. 이를 유한하게 표현할 때 세부 값의 초과 및 손실로 계산 오류가 발생한다.
숫자.toFixed(자릿수)
: 숫자를 고정 소수점 표기(자릿수)로 반환(문자)합니다.parseFloat(값)
: 주어진 값을 파싱해서 부동소수점 실수로 반환(숫자)합니다.const a = 0.1
const b = 0.2
a + b // 0.30000000000000004
parselFloat((a + b).toFixed(1)) // 0.3
불린(boolean)은 ture
와 false
두가지 값인 논리 데이터입니다.
let a = true
let b = false
존재하지 않는(nothing), 비어 있는(empty), 알 수 없는(unknown) 값을 명시적으로 나타냅니다.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변수는 선언했지만, 값을 할당하지 않았다면 해당 변수에 undefined
가 자동으로 할당됩니다.
let age
alert(age) // undefined
const user = {
name: 'wooseong',
age: 28
}
console.log(user.name)
console.log(user.age)
console.log(user.email) // undefined
console.log(user.abc) // undefined
console.log(user.xyz) // un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