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멘토링에서 SOLID 객체지향 5대원칙에 대해 정의하는 시간이 있었다.잘 정리된 원칙도 있었고, 매끄럽지 못한 원칙도 있었는데 이참에 다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작성된 클래스는 하나의 기능만 가지며, 클래스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는 그 하나의 책임을 수행하는데
자바의 신 마무리 1편이 너무 길어져 2편에서 마저 정리해보려한다.2편의 키워드는 Thread, File, Serializable, Network이다.
드디어 이번주면 자바의 신 1,2권 멘토링이 마무리 된다.지금까지 열심히 공부해왔던 자바의 신 책 마지막에 기말고사가 있어 이를 스스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번엔 멘토링 수업에서 받았던 Thread 관련 질문 중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 키워드들을 한데 모아서, 다시 한번 개념 정리를 해보려 한다. 키워드들은 아래와 같다.race conditionspinlocksemaphoremutexdeadlockmonitor먼저 race
지난번 멘토링 수업 중 동시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Concurrent Collection을 사용한다고 답변하였다가, Synchronized Collection과 Concurrent Collection의 차이에 대해 꼬리질문이 들어왔으나 명확히 답변하지 못해서 여기
오늘은 멘토링 수업 때 질문을 받았으나 제대로 답하지 못한 HashSet에서 어떻게 중복제거를 하는지, 세부 동작과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직접 HashSet 내부 코드를 살펴보기 전엔 몰랐던 사실인데, HashSet 내부에서 HashMap을 사용하고 있다. H
Collection을 공부하던 중 Fail-Fast라는 키워드가 나와서 이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이번에는 지난주 멘토링에서 질문을 받았으나 제대로 답하지 못했던, ArrayList에 사이즈 지정없이 add를 계속할 수 있는 이유 에 대해 나 스스로 정의 및 고찰해보고자 한다.
F-Lab 멘토링을 시작하며 회고록을 매주 남기겠다는 다짐이 1주 정도 흔들려서 저번주는 회고록없이 넘어갔다. 이번주부터는 다시 해보려한다. 지난주는 String, Inner Class, Annotation, Lambda를 주제로 멘토링이 진행되었는데, 다른 부분은
이번주는 답변이 미흡했던 4장을 리뷰하고 이어서 9장까지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였다. 받았던 질문 중 중요하거나, 답변을 제대로 못한 질문만 먼저 정리해보면 String이 참조자료형인 이유? 기본자료형은 기본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의 차이? null이 될 수 있냐 없냐
LIST ArrayList add : O(1) remove : O(n) get : O(1) contain : O(n) Thread Safe X 데이터 추가, 삭제를 위해 임시 배열을 생성해 데이터를 복사 대량의 자료를 추가/삭제 시 복사가 일어나게 되어 성능 저하를
기본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의 차이는 기본값이 있냐 없냐, null 값을 가질 수 있냐 없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String은 기본값을 가지지 않고, 초기화하지않을 경우 null 주소 값을 가집니다.String과 StringBuffer, StringBuilder의 가장
자바의 신 2권 제네릭 챕터를 공부하던 중 간만에 너무도 이해가 잘 안가는 느낌을 받아 해당 내용을 정리하면서 이해해보려한다.컴파일 시 자료형을 제한하고, 검사해주는 도구객체 생성 시 사용 될 객체의 자료형을 제한메소드에 사용 될 매개변수가 제네릭 클래스를 구현한 객체
이번주 멘토링은 자바의 신 1권 챕터1~4까지 리뷰를 진행하였다. 주로 4장에서 질문을 많이 받았는데, 주요 키워드는 아래와 같다. 1. 상태관리 2. JVM Memory와 변수 JVM Memory JVM Memory 구조는 크게 Java 8 이전과 이후로 나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