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팅 서비스 개발 중 관습처럼 사용하던 엔티티 ID Long에 대해서 왜 long은 안쓰는 건지 궁금해 알아보았다.우선 둘의 차이점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다.Wrapper Classnull을 허용함Primitive Typenull을 허용하지 않음기본값 0Hibernat
자바의 신 마무리 1편이 너무 길어져 2편에서 마저 정리해보려한다.2편의 키워드는 Thread, File, Serializable, Network이다.
드디어 이번주면 자바의 신 1,2권 멘토링이 마무리 된다.지금까지 열심히 공부해왔던 자바의 신 책 마지막에 기말고사가 있어 이를 스스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번엔 멘토링 수업에서 받았던 Thread 관련 질문 중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 키워드들을 한데 모아서, 다시 한번 개념 정리를 해보려 한다. 키워드들은 아래와 같다.race conditionspinlocksemaphoremutexdeadlockmonitor먼저 race
Synchronized Collection과 Concurrent Collection의 차이에 정리해보려 한다.
Collection을 공부하던 중 Fail-Fast라는 키워드가 나와서 이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ArrayList에 사이즈 지정없이 add를 계속할 수 있는 이유 에 대해 정의 및 고찰해보고자 한다.
익명 함수와 람다를 문법, 성능 관점에서 비교해보려한다. 이외 제네릭, 공변, 반공변, 불공변도 정리하려한다. 우선 익명 함수부터 보겠다. 익명 함수 메서드가 1개인 인터페이스를 정식 함수 선언 없이 바로 함수 선언해 사용하는 문법 함수를 정식 선언하는 것 대비 메모리 측면에서 효율적(사용 후 메모리 할당 사라짐) 다음은 비교 대상인 람다이다. 람...
LIST ArrayList add : O(1) remove : O(n) get : O(1) contain : O(n) Thread Safe X 데이터 추가, 삭제를 위해 임시 배열을 생성해 데이터를 복사 대량의 자료를 추가/삭제 시 복사가 일어나게 되어 성능 저하를
기본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의 차이는 기본값이 있냐 없냐, null 값을 가질 수 있냐 없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String은 기본값을 가지지 않고, 초기화하지않을 경우 null 주소 값을 가집니다.String과 StringBuffer, StringBuilder의 가장
자바의 신 2권 제네릭 챕터를 공부하던 중 간만에 너무도 이해가 잘 안가는 느낌을 받아 해당 내용을 정리하면서 이해해보려한다.컴파일 시 자료형을 제한하고, 검사해주는 도구객체 생성 시 사용 될 객체의 자료형을 제한메소드에 사용 될 매개변수가 제네릭 클래스를 구현한 객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