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량화된 운영체제 -Plug and Play(HAL)
마이크로 커널 = 유틸리티 P/G, 자주 사용하는 S/W, 경량화, user mode/kernel mode 분할
응용 P/G, 각종 관리자 —system call→ 마이크로 커널 —interrupt→ HAL
covert로 FAT에서 NTFS로 파일 변경, FAT가 작은 파일 읽을 때 빠름
Message Driven
①이벤트 발생 ②이벤트 식별(키로거)→ 윈도우 시스템 —③이벤트 전송→ 메시지 큐 —④메세지 추출→ winmain —⑤메세지 전송(call Back)→ winproc —⑥메세지 처리→ 화면에 출력
키보드에서 발생시킨 이벤트를 윈도우 시스템에 전송하고 윈도우 시스템에서 메세지 큐에 저장한 후 각 윈도우별 핸들을 식별 후 해당 윈도우를 호출
①winlog on = 로그인 프로세스
②GINA = 계정정보와 암호화된 패스워드(NTML)를 LSA에 전달
③LSA = 계정 검증, 감사 기록
④SAM = 계정 정보가 저장된 해시 값
⑤SRM = 사용자별 고유 SID 부여 및 권한 부여 (500:admin, 501:Guest, 502:사용자)
wininit.exe =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
services.exe = 윈도우 서비스 관리
lsm.exe = Local Session Manager
lsass.exe = 로그인 검사, 비밀번호 변경관리, 엑세스 토큰 생성
svchost.exe =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conhost.ece = 키보드, 마우스 입력, 문자 출력, 콘솔 API 등 셀의 기본 기능 수행
책임 추적성, 응용 P/G 로그, 보안 로그, 시스템 로그
Local 계정(Work Group)
-net user, -net user guest, -net user guest Active = Y
Domain 계정 = Domain Controller애서 계정을 받아 실행(Active Directory)
조직분리, 보안 그룹 : 암호화 정책
Root Key
Hive File = 레지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파일
절차 = 침투(Incursion) → 탐색(Discovery) → 수집/공격(Capture/Attack) → 유출(Exfiltration)
침투 ①payload = 공격 모듈 ②shell code = 기계어 코드 ③exploit =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5대 원칙 = 정당성, 무결성, 재연성, 신속성, 절차의 연속성
도구 = Encase, FTK

✱로드카르 법칙 = 접촉하는 두 개체는 서로 흔적을 주고 받는다는 원칙
✱Pagefile.sys, c:\, Archive, System, Hidden = 윈도우에서 가상메모리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파일명과 파일속성
포렌식 절차 VS 침해사고 대응 절차(7단계)
포렌식 절차 = 준비 - 획득/이송 - 분석 - 분석서 작성 - 보관
침해사고 대응 절차 = 준비 - 탐지 - 대응 - 대응전략 체계화 - 사고조치 데이터 수집/분석 - 보고서 작성 - 복구 및 해결
Mirai = IoT 기기에서 증식하여 DDoS 공격, 크로스 컴파일(다양한 환경=CPU), 리눅스
Can Do It
b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