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912 Terraform의 선언적 방식으로 작성된 코드는 항상 인프라의 최신 상태를 의미합니다. Terraform은 어떤 방식으로 인프라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걸까요?
✅ C911 가변적(mutable) 인프라와 불변적(immutable) 인프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가변 인프라와 불변 인프라 사이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central policy에 있다.Mutable Infrastructure: 서버를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The AWS Serverless Application Model (SAM)은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이다.함수, API, 데이터베이스 및 이벤트 소스 매핑을 표현하는 약식 구문을 제공한다.리소스당 몇 줄만 사용하여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Lambda는 AWS가 제공하는 서버리스 FaaS 솔루션으로, 함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여 이벤트를 처리합니다.FaaS는 자체 서버 시스템이나 수명이 긴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지 않고 백엔드 코드를 실행하는 것FaaS는 런타임(node.js, Java 등)에 대한 사
CQRS는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명령과 조회의 책임 분리)의 약자로 이름처럼 명령을 처리하는 책임과 조회를 처리하는 책임을 분리하는 것이 CQRS의 핵심이다.CQRS는 초기 CQS에서 시작되어 확장되었습니다.CQS는
C817 메시지 서비스로는 대표적으로 Apache Kafka와 Amazon SQS, Amazon Kinesis가 있습니다. 각각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Kafka Kafka는 상당히 확장 가능한 시스템이며 일괄 처리로 메시지를 보내려는 경우(좋은 메시지 처리량을 갖기
추가로 1달이라는 시간이 더 지나갔다.특히 이번 섹션에서는 컨테이너, 클라우드, 아키텍쳐등 DevOps 엔지니어가 알아야 하는 기초적인 지식을 두루 배울 수 있는 한달이었다. 두번째 과정을 진행하면서 교육 과정에 대해서 자료를 찾을때 초반보다는 확실히 난이도가 아주 많
C813 마이크로서비스를 구성할 때, 데이터베이스를 꼭 분리해야 하나요? 데이터가 한 곳에 모여있지 않고 중복되어도 괜찮은가요? 모범 사례를 알아보고, 이유를 함께 적어주세요.배달의민족 기술 블로그에서 통합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했을때 발생하는
서버리스의 의미는 무엇인가요?마이크로서비스와 서버리스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서버리스는 마이크로서비스의 어떠한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나요?AWS가 제공하는 서버리스 서비스들엔 어떤 것들이 있나요?마이크로서비스는 꼭 서버리스로 구현되어야 하나요?서버리스의 특징 중 하나인 무
컨테이너는 코드와 모든 종속성을 패키지화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단위로, 애플리케이션이 한 컴퓨팅 환경에서 다른 컴퓨팅 환경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되도록 한다.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경량의 독립형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가상화는 하드웨어 기능을 시뮬레이션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유용한 IT 서비스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기술이다.최근 사용되고 있는 가상화는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한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를 이용한 도커 방식이 있다.가상머신
📌 Nginx란? 👉 NGINX NGINX는 최신 웹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웹 서버 플랫폼 이다. 이 웹 사이트는 성장하는 웹의 요구사항인 '1만 개의 연결'을 제공해야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설계되었다 . 따라서 이 기술은 효율적인 방식으로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NGINX는 2004 년에 일반인...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큰 규모의 조직이 여러 곳에 분산 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보안성이 높은 사설 네트워크를 만들거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원격지 간에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고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안정적이며, 보안성
과거에는 통신용 규약이 표준화 되지 않았고 각 벤더에서 별도로 개발했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는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많았으며 서로 통신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를 ARPANET에서 TCP/IP 4계층으로 정리하고, OSI 7계층으로 세분화 되면서 네트워크의 동작
EC2 우분투에서 nvm을 이용하여 node 설치 후 권한 필요로 인하여 sudo node 실행 시 'sudo: npm: command not foudn' 문제 발생 해결 방법
데브옵스는 단순히 직무나, 직업, 역할, 툴을 명시하는 단어가 아니라 제품의 기획(Plan)부터 모니터링(Monitor)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하나의 철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