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map of DevOps
데브옵스는 단순히 직무나, 직업, 역할, 툴을 명시하는 단어가 아니라 제품의 기획(Plan)부터 모니터링(Monitor)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서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하나의 철학이다.
조금 더 근원적인 내용으로 알아보고 싶었다. DevOps에 대해서 조금더 자세하게 알아보려한다.
✅ C911 가변적(mutable) 인프라와 불변적(immutable) 인프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가변 인프라와 불변 인프라 사이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central policy에 있다.Mutable Infrastructure: 서버를 수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쉘 스크립트를 통해 인프라를 관리한다면, 코드의 재사용성을 위해 스크립트 작성시 한가지 리소스에 많은 조건문을 생각하여 구현해야 합니다. 멱등성 : 여러번의 스크립트 실행에도 동일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입니다.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이러한 복잡한 작업을 단순화하여 인
과거에는 통신용 규약이 표준화 되지 않았고 각 벤더에서 별도로 개발했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는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이 많았으며 서로 통신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를 ARPANET에서 TCP/IP 4계층으로 정리하고, OSI 7계층으로 세분화 되면서 네트워크의 동작
Slack 봇과 OpenAI의 GPT-3.5를 활용한 챗봇 ChatGPT 구현 방법을 소개합니다. AWS Lambda를 사용하여 Slack Bot을 구현하고 gpt-3.5-turbo API를 호출하여 질의 응답을 수행합니다.gpt-3.5-turbo 기반의 api를 사용
본 블로그는 baeldung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글을 참조하여 실습한 경험을 작성하였습니다.Java 옵션 중 힙 메모리를 관리하는 -XX:+UseContainerSupport에 대해 이해합니다.Java 8 버전을 통해 UseContainerSupport 백포팅이
지난 해 동안의 성과와 도전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성장 방향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작성하였습니다.DevOps 엔지니어로서 직무를 수행하며 새로운 기술과 도구를 터득하면서 동료들과의 협업에서 많은 교훈을 얻었습니다.
개발 업무를 하다 보면 반복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됩니다. 변수명 짓기, 주석 작성, 비슷한 패턴의 코드 반복 구현... 이 글에서는 Cursor.ai의 주요 기능과 활용법을 살펴보고, 어떻게 하면 일상적인 개발 업무에 잘 통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