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공부를 오랜만에 하려니 신기하고 재밌는 것이 많다. 다양한 개념과 잘 쓰지 않았던 문법들을 보려니 갑자기 머리에서 쥐가 나는 듯 하다. 계속 보다보면 괜찮아질 것이라 믿는다. 올해 처음 눈여겨 본 화살표 함수가 이제는 조금 친숙해졌기 때문이다. 프론트엔드 개발 공부, 이제 시작이다.
1. Object 자료형
2. 가비지 컬렉터
3. typeof 연산자
const a = 13;
const b = 'Int';
const c = true;
console.log(typeof a) //number
console.log(typeof b) //string
console.log(typeof c) //boolean
4. 클로저
5. 시간대
"birth" : "1996-03-02", // 순수한 시간
"updatedAt" : "2021-03-02T03:12:38Z" //UTC
"postedAt" : "2021-03-01T06:00:00Z" //Time Zone 시간
1. 프론트엔드에는 프레임워크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술이 있음
글로벌 서비스에는 i18n, Zoom과 같은 다대다 통화에는 WebRTC를 사용한다.
2. DOM은 트리 구조
DOM이라는 객체를 화면에 띄워지는 것을 렌더링이라고 부른다. 이제까지 단순히 DOM을 두려워하고 있었는데 json 같은 느낌이라 하니 마음이 살짝 편해졌다.
3. ARP를 이용하여 MAC 주소 변환
존재를 잊고 있었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은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물리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4. RTC
수강신청할 때 RTC 시간이라는 개념을 썼는데 이제 그 개념을 알았다. Real Time Clock은 카운터 회로를 통해 클럭을 발생시키는 모듈, 1 클럭에 32.768kHz라는 정확한 주파수를 이용
가비지 컬렉터
https://www.geeksforgeeks.org/mark-and-sweep-garbage-collection-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