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GitHub에서 제공해주는 API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사실 다는 모름) 또는 IntersectionObserver를 사용한 인피니트 스크롤링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경험적으로다가 정리를 한다. GitHub API >GitHub은 작성한 코드를 저장하고
현재는 웹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다. 이번에는 정렬을 이용한 프로그래머스 기출 문제인 K번째수 라는 코딩테스트 문제다. JS로 테스트가 가능하며, 레벨 1의 문제다. 문제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
오랜만에 글을 써본다. 최근에는 여러 이력서를 넣으면서, 코딩 테스트를 위해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에 대해서 공부 중에 있었다. 공부 내용을 정리하고 싶었지만, 해당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정리 내용을 블로그라도 적으면 안된다고 해서 일주일 넘게 블로그를 작성하지 못하고!어느
아래 내용은 외우려고 하지 말자. 최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여러 곳에서 정보를 취합하자. 그래도 이해가 안간다면 이미지나 영상을 찾아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자. 면접 질문들을 여러 곳에서 봤지만 외워서 될 일은 아닌 것 같다. 면접자 분들은 이미 아는 내용이고,
이번 시간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자바스크립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내용인 클로저(Closure)에 대해서 정리를 한다.먼저 클로저에 대해서 정리하기 전에 실행 컨텍스트에 대해서 정리부터 하려고 한다. 클로저에 대해서 더 이해가
이번 시간에는 객체와 변경불가성인 Immutability에 대해 정리를 한다.Immutability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원리이다.Javascript의 원시 타입(primitive data type) 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다.Bool
프로젝트 경험을 하면서 "나는 얼마나 내가 작성한 코드에 대해서 알고 있을까?" 라는 의심을 갖게 됐다.의심을 하게 된 이유는 이제 취업을 하고 싶기 때문에 여러 취업 후기, 구인 공고, 채용 인터뷰 등 보면서 쇠파이프로 정강이를 맞는 팩폭으로 세상은 쉽지 않다는 걸
이번 시간에는 네트워크에서도 중요한 HTTP와 HTTPS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한다.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즉,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이번 시간에는 웹에 빠질 수 없는 URI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 하겠다.정리 내용 자료 출처는 마지막에 표기 하겠습니다.Uniform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자원이다.Identifier - 다른 항
웹 개발자라면 프론트나 백이나 기본 지식으로 갖고 있어야할 네트워크를 드디어 공부를 했다.관련 자료는 모두 인프런에서 강의 듣고 정리하는 내용이며, 자료 출처는 마지막에 표기 하겠습니다.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망은 노드들이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통
이번 시간에는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배포하는 과정에 있어서 정리하고자 작성한다.현재 프로젝트 배포 + 포트폴리오 사이트 배포를 진행했다. 프로젝트는 포트폴리오 사이트에서이동되도록 링크를 앞으로 쭈욱 열어두고 있을 예정이다.라우트53은 AWS에서 제공되는 IP와 도메인을
이번 시간에는 작성된 포스트 중 검색을 통해서 해당되는 포스트을 불러오는 기능을 정리한다.이번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작성한 포스트를 검색 기능을 구현해서 해당 포스트를 찾을 수 있도록 작업했다. 처음에는 없던 기획이었지만, back에서 라우터들을 만들고 해보니 한번 넣어
2~3주간 진행했던 개인 프로젝트는 얼추 마무리가 되었다.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드는 과정만 남았다. 또한면접에 필요한 기술면접 또한 공부를 해야한다.그 전에 어떤 프로젝트에 쓰인 코드를 정리를 하려고 한다. 기억보단 기록이 좋으니까웹, 모바일에서 빠질 수 없는 기법이지
이번 포스트는 전 포스트를 이어서 AWS에서 어떻게 설정하는지 정리하는 포스트바로 시작하겠다.이전 포스트에서 만든 람다 파일을 s3에 보냈다. 그걸 AWS Lambda 페이지에서 함수를 생성하고 s3와 연결까지 하는 과정을 진행해보자.정리 하기 앞서 작성자는 이미 작업
이번 시간도 나를 위한 정리하는 포스트배포과정이 거의 마무리가 되어간다. S3를 이용해서 이미지도 서버에 업로드도 해보고 말이지!이번 포스트는 S3에 업로드 한 원본 이미지가 아닌 리사이징을 하는 과정을 다룬다.여기서 Lambda라는 AWS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서비스다
이번 시간도 나를 위한 AWS - S3 설정 방법 정리 포스트현재는 만든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포트폴리오에 넣기 위해서 내 경험을 위해서 배포를 하고 있지만 배포 과정도 생각보다 복잡하다. 특히 CORS문제가 이렇게 많을 줄 몰랐다.브라우저마다 C
현재 작업했던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과정에 있어 잊어버리지 않기 위한 포스팅... 우분투 서버에 MySQL 설치 (8버전) 일반적으로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로 설치하게되면 5버전으로 설치하게된다. 8버전으로 설치해보자. 설치방법
현재 개인 프로젝트 작업 중... 포스트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작업 중에 정말 막히고, 막히고 또 막힌 부분들이 있었다. 물론 해결하면서 진행했지만!그 해결했던 것 중 하나만 정리하고 다시 작업 진행하려고 한다.현재 벨로그를 오마주하여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다! 물론
이번 시간에는 전 시간처럼 SNS 회원가입 및 로그인에 대한 두번째 시간이다. 이번에는 구글을 통해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 처리를 할 예정이다. 이번에도 passport를 통한 전략과 구글 개발 사이트에서 설정을 통해서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자. Google > h
이번 시간에는 SNS로 회원가입과 로그인 구현에 대해서 정리를 하겠다. 한국에서 자주 쓰이는 카카오와 구글로 구현을 했다. passport를 이용하여 구현을 진행하였다. passport에는 SNS에 대해서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 트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