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기초를 안한지 너무 오래 지난거같아서 복기 겸 작성여기서 괄호 안에 있는건 자료형 크기자료형 표(크기, byte)정수 : char(1), short(2), int(4), long(4), long long(8)char기준으로 보여준다면 맨 앞은 음수 양수로 나눌수

if문은 if, else, else if 로 나뉜다.먼저 비교문을 생각하기 전에 비교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야하는데기본적으로 종류는 이렇게 존재한다

이번 포스트는 변수 관한 이야기이다. 이미 전에서 int char 등등 사용했다 기본적으로 cpp프로젝트 만들고 main 함수 안에 코드를 작성 하게 되는데 1. 지역변수 일단 주석 달아논거에 좀 설명이 이상한데 나중에 다시 설명 하겠다. 일단 지역 변수 부터 알
이번엔 배열이다. 배열을 사용한다면 보통 포인터 개념도 같이 알아야하지만 나중에 다시 작성하고 지금은 배열만 설명한다. 배열의 특징으로는 메모리의 연속성이다. 배열은 같은 자료형만 넣을수있다 1. 배열 기본적인 배열 구조이다.= int 자료형에 배열 크기는 10이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nullptr은 아무것도 안들어감 = 0int형 포인터 변수이다.주소의 단위는 byte 단위로 이동주소를 표현하는 방식은 정수 로 표현따라서 비트 단위로 표현 불가능주소값 이후에 어느정도가 변수의 바이트 인지 모르기때문에 지정해서 가지고있음그래서 포
포인터 는 주소 값구조체는 자신이 직접 만드는 타입형 으로 알고있다.보통 이렇게 만들어진다.그러면 이렇게 만들어진 자료형을 여러개 쓸수도 있다.근데 직접 만드는 자료형이라서 보통 여러개의 변수를 묶어서 많이 쓰는데 이때 크기가 많이 커진다.이런 자료형을 사용할경우 복사
c++ 에서 보통 메모리 영역을 나눌때변수는지역변수전역 정적 외부데이터 변수로 나누고메모리 영역은 스택데이터ROM힙 영역인데작성된 변수들은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순간 이미 자료형으로 다 byte 고정으로 정해지는 애들이다.하지만 특수한경우 즉 프로그램을 시작 해야지만 알

이번에 lsit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개요 연결형 리스트 경우에는 메모리 공간에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존재 하는것이 아니다. 데이터 가 메모리 비어있는 공간에 각각 존재 하고 그 데이터를 다음공간 데이터 주소값을 같이 가지고 있어서 그값을 이용해 찾아간다. 그

1.개요 보통 서버 프로그래밍 할때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다. 서버 - 클라이언트 구조 소켓은 간단하게 표현하면 IP + Port구조로 되어있다. 예시로 서버는 언제나 클라이언트를 받을 준비를 해야한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소켓을 확

흔히 생각하는 프로그램에서 실행을 할경우 프로세스가 동작 하게 된다.이때 컴퓨터 내부에서 코드와 데이터들이 메모리에 힙과 스택에 존재하면서 동작을 하게 된다.윈도우 관리자를 켜서 확인해보면 동작 중인 프로세스 부터 다양하게 볼수 있다.이렇게 프로세스들이 실행중인데 같은

교착 상태(膠着狀態) 또는 데드락(영어: deadlock)은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 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다리가 있고, 두 명의 사람이 각각 사다리의 위쪽과 아래쪽에 있다

보통 멀티스레드로 서버를 개발 해야하는 상황이있는데 멀티스레드로 서버를 개발하는경우 보통 mmo 게임 에서 쓴다고 많이 보는데 이유는 프로세스당 로딩해야하는 게임정보의 용량이 매우 클때 사용된다. 서버 한대의 프로세스가 여러 cpu의 연산량을 동원해야할정도로 많이 써야할때 코루틴이나 비동기 함수 못쓰는상황에서 디바이스 타임 발생할때 서버 인스턴스를 서버 ...

이번에는 싱글턴 패턴을 c++에서 사용해보도록 하자 c++ 에서는 생각보다는 크게 차이 나는게 없다 코드 한번 보면 될꺼같다. 먼저 싱글턴하면 생성자와 대입 연산 복사 생성 이 3가지를 막아야한다. 왜냐하면 혼자 유일 클래스로 객체가 존재 해야 하기때문이다. 헤더에

보통 사람들은 set 을 사용할때 std::set 사용하면서 사용하는게 중복허용 하지않은 데이터를 관리를 하기 위헤서 사용을 많이 하는데 unordered_set도 알아두면 좋은메모리 관리 를 할수있을것이다

이번 포스트는 c++11 에 생긴 std::move std::forward 두 함수의 차이랑 사용 용도를 포스트 하겠습니다
함수를 짜다보면int변수 2개 더하는 함수를 만들었는데 double를 더하는 함수도 필요하고 string도 합치는 함수가 필요한데 이름만 바꾸서 처리하기엔 너무 코드가 길어지고 찾기도 힘든 경우도 생긴다 그래서 c++에서 Template로 처리하는걸 알아보자
코딩을 하다보면 한번만 만드는 함수를 만드는경우가 있다.물론 나중에 다른곳에서 쓰면 다행이지만 그런게아니라면 실행중인 함수에서 끝내는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