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서든어택 호스트렉이 생기는 이유

Tae_Tae·2024년 11월 3일
0

이것저것

목록 보기
5/8

게임 네트워크 구조에서 유저 호스트 방식의 장단점 분석

업로드중..

레포트 작성 동기


게임을 하다 보면 간혹 호스트렉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호스트 유저의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할 때 전체 게임에 영향을 주는 현상입니다.

서든어택을 하던 중 호스트인 플레이어로 인하여 렉이 발생하거나 호스트 유저가 이점을 갖는 일이 일어나는데 왜 이러한 단점을 갖고있는 P2P네트워크 구조를 사용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본 레포트는 이 질문을 바탕으로 P2P 네트워크 구조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간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유저가 호스트가 되는 방식의 장단점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P2P 네트워크 구조



이미지 출처

P2P (Peer-to-Peer) 네트워크는 모든 참가자가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특정 서버 없이도 각 유저가 다른 유저와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조입니다.

게임에서 P2P 구조를 활용할 경우, 한 유저가 호스트가 되어 게임 데이터를 관리하고, 다른 유저들은 호스트와 직접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서버 없이도 게임을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의 차이점



이미지 출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는 서버가 중심 역할을 맡아 모든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서버가 게임 상태를 제어하고 모든 유저에게 동기화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 P2P 네트워크에서는 각 유저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며, 한 유저가 호스트로서 서버 역할을 대신합니다.
이로 인해 서버 운영 비용이 절감되지만, 호스트 유저의 네트워크 상태와 성능에 따라 게임 품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유저가 호스트가 되는 방식의 장점


1. 서버 비용 절감:

서버를 운영하는 대신 유저가 호스트가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게임을 무료 또는 저가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빠른 방 생성 및 게임 시작:

호스트가 되는 유저가 직접 방을 생성하고 게임을 시작할 수 있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지역적 지연 감소:

유저가 가까운 지역의 유저라면 네트워크 지연이 줄어들어 서버보다 원활한 연결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유저가 호스트가 되는 방식의 단점


1. 호스트 의존성 문제:

호스트 유저가 게임을 종료하거나 연결이 불안정하면, 게임 전체가 중단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이 있습니다.

2. 편파적인 핑 문제:

호스트는 서버와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반응 속도가 빠른 반면, 다른 유저들은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 게임의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부정행위 가능성 증가:

호스트가 다른 유저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으므로, 클라이언트보다 유리한 환경에서 부정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호스트 성능에 따른 제약:

호스트 유저의 컴퓨터 성능이 낮거나 네트워크 대역폭이 부족할 경우 전체 게임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정리


유저가 호스트가 되는 P2P 네트워크 구조는 비용 절감 및 빠른 방 생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네트워크 품질이 호스트 유저의 성능에 의존하게 되어 게임 품질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스트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정성 문제와 부정행위 가능성도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게임의 특성과 비용 요건에 따라 P2P 방식이 적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게임사들은 여러 보완책을 고민하고 적용하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