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 Playbook 1편 - Churn 이란 무엇인가?

Poco ·2022년 6월 18일
0

앞으로 꾸준하게 SaaS Metric 에 대한 번역글에 개인적인 경험을 덧붙여 글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첫번째 주제는 SaaS 메트릭에서 중요하면서도 복잡한 지표인 Churn 에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 알게될 수 있는것들

  • Churn 이란 무엇인가?
  • 동종업계의 Churn 은 어느정도인가? (이 글에서는 B2B 회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Churn 은 무엇인가

Churn 은 흔히 구독해지율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여기 Churn에서 환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Churn 은 MRR, 구독 Retention과 함께 서비스의 건강지표로 많이 쓰이곤 합니다.

Churn에는 Customer Churn 과 Revenue Churn 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Churn 은 Revenue Churn 을 이야기합니다.
SaaS 사업에서 A,B,C 세명의 고객의 MRR이 각각 20, 30, 50인 경우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다음달에 C가 이탈할경우 Customer Churn 은 33%가 됩니다. 반면 Revenue Churn 의 경우 50%가 되겠죠.

Comment: 생각보다 Churn을 집계하는 과정에서 Refund와 함께 집계하기 쉬웠습니다. 둘다 매출에 Negative 한 지표여서 그런지 해당 지표가 환불이 포함된 금액인지 환불이 미 포함된 금액인지 햇갈리더라구요.

2. Churn 의 두가지 타입

MRR의 경우에도 net MRR과 MRR을 살펴보는것처럼 Churn의 경우에도 Cross MRR Churn과 Net MRR Churn의 개념으로 나눠볼수 있는데요.

  • Gross MRR Churn Rate = ( Churn + Contraction ) / MRR
  • Net MRR Churn Rate = ( Churn + Contraction - Expansion - Reactivation ) / MRR

Gross MRR Churn이 일반적으로 부르는 Churn 에 가깝습니다.

Net MRR Churn 의 경우 마이너스가 될 수 있겠죠. Net MRR Churn이 마이너스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고 합니다.

3. 어느정도 Churn Rate이 나와야 좋은 걸까요?

벤치마크 데이터를 통해 우리 서비스의 Churn 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Y축이 Churn Rate과 Net Churn Rate, X축이 ARPA, ( average revenue per acount ) 와 MRR 로 이루어진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1. ARPA X Churn Rate

ARPA가 높을 수록 Churn Rate이 낮은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ARPA가 높은 비즈니스일수록 영업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고, 유저들이많은 고민후 결제하기 때문에 Churn이 낮다고 하네요.

2. MRR X Churn Rate

3. ARPA X Net Churn Rate

ARPA 가 높을 수록 expansion 이 MRR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이것이 Negative Churn을 만드는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Chart Mogul에 따르면 ARPA가 높을 때 나오는 Negative Churn은 생각보다 일반적인 경우라고 합니다. 500$이상의 ARPA인 회사의 경우 무려 53%의 회사가 Negative MRR 이 나온다고 하네요.

이때 주의할점은 월기준으로 MRR Churn Rate 이 11% 이상인 경우 1년후에 남는 유저는 25% 정도라고 하는데요. 이정도 리텐션을 기록하면 지속가능하기 어려울것이라고 합니다.

비즈니스가 확장하기 위해서는 Negative Churn 을 목표로 해야할텐데요.차트모굴에 따르면 MRR 밴드에 따라 12%~ 33%의 회사들이 Negative Churn을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업로드중..

4. 결론

  • Monthly Churn Rate가 11% 이상이 되지 않도록 서비스를 만들자.
  • Negative Churn 을 달성할수 있도록 노력하자.
  • Expansion, Negative Churn, 벤치마크 지표들을 통해 우리 비즈니스의 현재 상태를 점검해보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소감과 피드백 해주시면 양질의 글을 만드는데 더 도움이됩니다 ㅎ.ㅎ

profile
안녕하세요. 개발자와 마케터 경험을 가지고 PM으로 일하는 김선욱(aka 포코) 입니다. 제품 개선, 애드 테크, 광고 수익 최적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velog에는 일하면서 얻은 인사이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