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Tableau Server는 서버 상태에 대한 몇가지 대시보드들을 제공한다. 이 대시보드는 Tableau Server가 서버에 대해 자체적으로 쌓는 데이터(앞으로 이 데이터를 Repository data라고 하자.)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성되는데 ...
지난 포스팅에서 linux 환경에서 Tableau Server 설치를 진행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찬가지로 linux 환경에서 crontab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정리해보자.
Linux Ubuntu 18.04 LTS 환경에서 Tableau Server 2022.1.4 버전 설치를 진행하였다. (2022.07.27 기준) Ubuntu의 경우 20.04 LTS는 지원하지 않으며 16.04 LTS와 18.04 LTS만 지원하니 참고!
지난 포스팅에서는 Docker를 이용해 Airflow를 설치하고 airflow-code-editor plugin을 설치했다. 이제 DAG를 작성해보자.
airflow-code-editor plugin은 DAG를 Airflow UI내에서 작성할 수 있는 plugin이다. airflow-code-editor github링크에서 더 자세한 설명과 스크린샷을 볼 수 있다.Docker가 아닌 Airflow를 바로 설치한 경우에
Apache Airflow의 공식 문서를 참고했다. Docker 설치이 링크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받아 그대로 진행한다. (생략) WSL 설치 참고 링크 Docker 사용을 위해서는 Hyper-v를 사용하거나 WSL를 설치해야하는데 최근 버전의 Docker는...
항상 indexing 사용할 때면 헷갈리는 pandas의 loc, iloc 정리.
새 회사로 오고 Amplitude를 처음 접해봤다. 툴도 이것저것 만져보고 raw data로 검증하며 경험해본 결과 조금은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궁금한 점이 많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사람으로서.. 데이터는 내가 제일 잘 알아야하지 않겠나 싶어...
반응변수y와 설명변수x의 관계를 봤을 때, x가 0인 경우 y 또한 0이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면 절편을 0으로 설정. 또는 y값이 음수가 나올 수 없을 때 절편이 음수값으로 추정된다면 절편을 0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